![]() | ||
↑↑ 하동훈 고운선형한의원 원장 | ||
ⓒ |
사람은 누구나 허리 통증을 경험하게 된다. 특히 50대가 넘어가게 되면 허리 통증과 함께 다리 저림이 오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 척추관 협착증이 주원인이 된다.
척추관 협착증은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좁아져 생기는 질병이다. 허리통증으로 인해 흔히 디스크로 오인하기 쉽다. 디스크는 척추 뼈의 디스크가 돌출돼 신경을 압박하는 것으로 협착증과 자주 혼동된다.
디스크는 주로 한쪽 다리가 당기는 증상이 심하고 누워서 다리를 올리면 통증이 심해지는 반면, 척추관협착증은 누워서 다리를 올리기 쉽지만 걸으면 허리보다 다리에 통증이 심해 오래 걷지 못한다. 걷다가 앉으면 통증이 줄지만 다시 걸으면 통증이 발생한다.
허리를 펴면 아프지만 허리를 구부리면 척추관이 넓어져 통증이 덜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밤에 종아리가 많이 아프고 엉덩이나 허벅지, 발끝이 저리거나 아파오는 질환이다.
디스크 탈출증은 50대 이전에, 척추관 협착증은 50대 이후에 주로 생긴다. 척추관 협착증은 초기에는 허리에 통증을 호소하지만 점점 진행될수록 엉덩이나 다리 쪽의 통증이 생기게 되고 특히나 일정한 거리를 걸으면 통증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파행’이라고 한다. 척추관 협착증의 주요한 증상이다.
척추관 협착증 치료는 수술보다는 비수술적인 치료법을 먼저 하게 된다. 먼저 침 치료를 통해 허리와 엉덩이 근육을 풀어주고 인대를 강화하고 염증을 가라앉히는 약침요법을 시술하게 된다.
그리고 추나요법을 통해 척추의 정렬을 맞추고 감압이나 견인을 통해 척추관의 공간을 넓히면 다리 저림과 허리통증은 많이 완화가 된다. 그 후 운동을 통해 꾸준히 관리를 하게 된다면 수술 없이도 협착증은 충분히 치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