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이혜옥 고려수지침학회 신양산지회장 | ||
ⓒ |
저혈압은 심장의 수축력이 떨어진 경우, 혈관 속을 흐르는 피의 양이 줄 경우, 혈관의 저항력이 떨어질 경우 발생한다. 저혈압 상태에서는 적정량의 피를 신체로 공급치 못해 각 조직이나 기관에서 필요한 영양분과 산소가 모자라건강에 악영향을 준다. 저혈압 환자는 소화력이 떨어져 음식을 먹어도 소화를 못 시킨다.
동맥압의 정상 범위는 최고혈압(수축기혈압) 120mmHg, 최저혈압(이완기 또는 확장기 혈압) 80mmHg를 중심으로 수축기 혈압이 100~140mmHg, 이완기 혈압이 70~90mmHg이면 정상이다. 저혈압은 최고혈압이 100mmHg이하, 최저혈압이 60㎜Hg 이하일 때다. 정상범위 미만의 낮은 혈압이라도 증상이 없다면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저혈압 종류에는 본태성과 증후성, 기립성, 쇼크 등이 있다.
본태성 저혈압은 혈압을 저하시키는 다른 질병이 없으면서 수축기 혈압이 낮은 것을 말한다. 체질적으로 야윈사람이나 소식을 하는 사람, 기온이 높은 경우에 발생한다. 증후성 저혈압은 여러 질환으로 인해 2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내분비 계통의 이상이나 만성소모성 질환에 의한 경우가 많다.
기립성 저혈압은 선 자세의 혈압이 누운 자세의 혈압보다 정상 범위 이하로 급격히 하강하는 경우를 말한다. 평소에는 증상이 없다가 갑자기 일어나는 경우 실신하게 되는데, 옆으로 눕혀 놓으면 회복된다.
저혈압은 자체만의 증상보다는 빈혈, 심장병, 동맥경화증, 폐질환, 위장병, 내분비질환 등 원인질환에 의한 증상이 대부분이므로 원인질환에 대한 검사와 치료가 중요하다. 특히 저혈압인 사람들은 규칙적인 생활이 중요하다.
수지침요법에서는 기본방과 심정방, 비정방, K9, F4, B19, B18, N18, F19에 뜸을 하루에 2~3회, 1회에 5~6장씩 뗘주면 매우 좋다. 또한 혈액순환에 도움이 되는 수지침팔찌나 금경목걸이을 착용하면 저혈압치료에 효과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