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박성진 본지 논설위원 | ||
ⓒ |
3명을 뽑는 가 선거구(물금ㆍ원동ㆍ강서)에서는 현역인 김효진ㆍ박정문 의원과 김영철 전 물금읍체육회장이 경선을 통과했다. 이곳은 신도시 인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곳으로 야당의 공세가 거셀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나 선거구(상북ㆍ하북)에서는 현역인 정경효ㆍ최영호 두 의원이 나란히 경선을 통과했다. 다 선거구(중앙ㆍ삼성)에서는 삼수(三修)에 도전하는 김정희 SC렌탈 대표가 한옥문 현 의원과 함께 1차 관문을 통과했다. 하지만 두 후보 모두 삼성동을 연고지로 하고 있어 무소속으로 출마를 선언한 이용식 현 의원과의 세 번째 대결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양산의 정치일번지로 통하는 라 선거구(동면ㆍ양주)는 명성답게 다양한 후보들이 각축을 벌일 전망이다. 현역인 김종대 의원이 시장후보로 말을 바꿔 탄 후 무주공산이었던 새누리당은 지난 대선 때 선대위 특보를 지낸 최선호 후보와 동면장을 역임한 이호근 후보 등 정치신인이 여론조사 1, 2위를 차지했다.
새누리당은 추가로 이곳에 여성후보 1명을 공천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곳 역시 야당의 파워가 만만치 않다. 지난 선거에서 심경숙 의원이 통합진보당 공천으로 나와 최다득표를 한 곳이다.
웅상지역 2개 선거구에서는 경선없이 네 후보가 공천을 받을 것 같다. 마 선거구(서창ㆍ소주)에서는 이채화 현 시의회 의장과 신현묵 전 서창동장이 예선을 통과해 무소속의 서진부 현 의원과 각축하게 됐다. 바 선거구(평산ㆍ덕계)에서는 현역인 황윤영ㆍ이상정 의원의 재선 가도에 시의회 의장 출신인 박일배 어린이집 이사장이 도전장을 내밀었다.
시의원 선거는 다른 선거와 달리 중선거구제도가 시행됨으로써 다소 특이한 결과를 낳고 있다. 시장과 도의원 선거가 새누리당 공천에 따라 향배가 결정된 전례가 많은 반면 중선거구제도의 특색이 그대로 선거결과에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것이 시의원 선거를 관전하는 묘미라고 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자.
첫째, 새누리당 공천 후보의 당선 여부가 관심을 끈다. 선거구별 정수가 2~3인이다 보니 새누리당 간판을 달고 나와도 그 효과를 다 누리지는 못하게 된다. 지난 선거에서 뚜렷하게 증명됐다. 6개 선거구에서 나란히 한 사람씩 낙선한 것이다. 기호 자체가 ‘1-가’, ‘1-나’ 이런 식으로 매기다 보니 새누리당 지지자들로서는 표의 배분이 쉽지 않은 탓이다. 특히 세 명을 뽑는 선거구에서는 더욱 불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둘째, 지역주의 현상이다. 지난 선거까지만 해도 공교롭게 읍ㆍ면ㆍ동 수와 지역구 시의원 수가 똑같았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읍ㆍ면ㆍ동 대표를 뽑는 선거가 됐다는 평가를 들었다. 이번에는 몇 개의 선거구에서 변수가 나왔다. 가 선거구에서는 원동면 출신이, 다 선거구에서는 중앙동 출신이 새누리당 공천을 받지 못했다. 라 선거구에서는 정수가 한 명 늘었다. 따라서 중선거구제도의 근본 취지인 지역구도 타파가 이번 선거에서 실현될지 지켜보는 것도 하나의 재미라 하겠다.
끝으로, 여성 후보 공천 의무제에 대한 결과도 관심의 대상이다. 공직선거법은 정당이 도의원과 시의원 선거 중에서 한 명 이상의 여성후보를 공천하도록 의무화했다. 우리 지역에서는 당초 도의원 제3선거구(서창ㆍ소주ㆍ평산ㆍ덕계동)에서 김정희 늘푸른요양원장이 공천을 신청했다. 하지만 김 예비후보는 새누리당이 자신에게 공천을 주지 않으려고 고의로 시의원선거구에 추가로 공천신청을 받았다며 기자회견을 통해 비난하고 나섰다.
소식통에 따르면 시의원 라 선거구(동면ㆍ양주동)에 황신선 여성단체협의회장이 추가로 공천신청을 했다고 한다. 김정희 원장이 지목하는 대상일 것이다. 황신선 회장이 누구인가. 나동연 시장 재임기간 중에 여성단체가 양분되는 일이 벌어졌는데 그 단초가 된 것이 황신선 회장이다.
1년여의 갈등 끝에 전통의 여성단체협의회와 대립한 여성단체연합회가 결성되면서 여성계의 반목이 고착화됐는데 이번에 황 회장이 공천을 받아 출마하게 되면 그 당락(當落)이 상당한 파장을 몰고 올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