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빛 없는 거리로 하북지역 학생들 불안
![]() | ![]() | |
↑↑ 박나영 학생기자(보광중2) | ||
ⓒ |
하북지역 가로등 수가 부족해 야간자율학습 또는 학원을 마치고 귀가하는 학생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학생들이 일과를 마치고 귀가하는 시간은 이미 주위가 어두워진 오후 9시에서 11시 사이다. 그래서 귀가하는 학생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 하북지역 내 가로등 수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큰 도로가 아닌 통행이 가능한 작은 도로나 골목길은 가로등이 있지만 이미 고장나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쉽게 볼 수 있다. 이러한 환경으로 인해 요즘 인신매매나 성폭력 사건 등으로 불안해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어두운 귀갓길은 공포의 대상이 돼버렸다.
![]() |
ⓒ |
실제 야간자율학습을 하고 늦게 귀가하는 보광중 정수빈 학생은 “집에 갈 시간이면 주위가 어두워서 너무 무섭다. 괜히 뒤에 누군가 따라오는 느낌이 들어서 뛰어간다”라고 말했다.
학생들뿐 아니라 자녀를 둔 부모들도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최근 귀가시간에 맞춰 미리 학원 또는 학교 앞에서 기다리고 있는 부모들도 늘어났다. 그러나 요즘 대부분 부모들이 맞벌이를 해 매일 자녀를 데리러 오는 것도 힘이 든다.
학업으로 심신이 지쳐있는 학생들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집에 귀가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줄지어 서 있는 차량, 양산고 학생들 위협
![]() | ![]() | |
↑↑ 김정모 학생기자(양산고2) | ||
ⓒ |
양산고 정문 쪽 등굣길은 수많은 학생들이 오고 간다. 거의 모든 학생들이 이 등굣길을 이용하지만 안전에 대한 관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정문 쪽 등굣길은 주거지역과 맞닿아 있어 인도 옆에 많은 차들이 줄지어 주차돼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양산고 학생들이 시야확보가 되지 않아 사고를 당할 뻔한 경험을 했다. 제대로 된 인도가 없어 대부분 학생들이 인도가 아닌 차도로 다니고 있다.
![]() |
ⓒ |
이 길을 주로 이용하는 양산고 한 학생은 “인도에서 나오다가 줄지어 있는 차들 때문에 뒤에 오던 차에 치일 뻔한 적이 있다”며 “차들이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을 따로 만들거나, 이 지역을 주차금지구역으로 지정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밝혔다.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서 학생들의 등하굣길을 주차금지구역으로 설정하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