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김홍표 시민기자 | ||
ⓒ |
멜로디가 없는 음악인 범종은 시각을 알리거나 대중을 모으기 위해 사찰의식을 행할 때 친다. 범종은 조석예불이나 의식 때 치는데 횟수는 아침에 28번, 저녁에 33번을 친다.
아침, 저녁 예불 때 울리는 법고는 부처님 법을 널리 전하기 위해 울린다. 번뇌를 물리치고 해탈을 이루고 짐승의 제도도 이룬다.
청동으로 된 판에 구름모양이 새겨진 운판은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상이 새겨져 있다. 운판이 울리면 공중을 날아다니는 생물과 허공을 헤매며 떠도는 영혼을 달랠 수 있다는 말이 있다.
물고기 모양에 그 속을 비워 나무채로 쳐 소리 내는 목어는 수중에 사는 생물을 구한다. 또 눈을 감지 않는 물고기처럼 수행 정진하는 스님이 잠에 취하지 말고 또렷이 깨어 정진하라는 의미로 치기도 한다.
불교 사법물의 의미를 알고 문화재를 보면 문화재가 달리 보인다. 아는 만큼 보이고 보이는 만큼 느낀다. 통도사에 가거든 꼭 문화해설사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자.
![]() |
ⓒ |
김홍표 시민기자
pyo512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