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이날 토론회는 정부가 이미 수명이 다했음에도 10년간 연장해서 가동해온 고리원전 1호기를 또다시 10년이나 연장가동하려 한다는 의혹이 일고 있는 시점에서 열려 시민 이목이 쏠렸다.
토론회는 고리원전에 대해 정작 시민이 무관심한 상황에서 시민단체가 나서서 지역 이슈를 공론화 했다는 데 나름의 의미가 컸다.
그러나 토론회는 고리 1호기가 안고 있는 심각성에 비해 원론적 이야기만 오가 한마디로 실망스러웠다. 패널 선정, 토론시간 제한 등의 아쉬움을 남겼고 무엇보다 고리원전, 이대로는 안 된다는 토론 주제에 걸맞게 고리원전 폐로 여부에 대한 명확한 대안을 모색하는 데까지 나아가지 못했다.
토론회는 우선, 수명 연장과 잦은 사고, 불량부품 사용 등 고리 1호기가 안고 있는 숱한 문제점을 제시하는 게 순서다. 그런 후에, 고리 1호기의 당사자라 할 수 있는 한국수력원자력의 입장을 듣고 패널 토론이 펼쳐져야 한다.
그럼에도 이번 토론회는 주제에 대한 기조 발제는 없이 고리원자력 주변 방사선량을 조사한 결과 현재는 안전하다는 학자의 발표와 방사능 방재업무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는 고리원전 관계자의 기관 옹호, 윤영석 국회의원은 고리 1호기 폐로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원론적인 정치 수사만 늘어놓았다.
최소한 방사선 전문학자는 방사성에 피폭될 경우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고리원전 관계자는 고리 1호기의 정확한 실태를 양산시민에게 알려줘야 했다. 고리 1호기 폐로 입장을 밝힌 윤 의원은 만약, 정부가 고리 1호기를 또다시 연장 가동하려 들 경우 이를 어떻게 막아낼 것인지 명확한 입장을 제시했어야 했다.
이웃 부산시 국회의원 중 연장 가동에 정확히 반대한다는 입장을 가진 의원이 단 두 명에 불과한 현실이다.
더구나, 정부의 입장에 순응하고 당의 결정에 따르는 게 집권여당의 생리 아니던가?
원전사고는 예고 없이 일어난다.
체르노빌이 그랬고 후쿠시마가 그렇다. 일본은 2004년 후쿠시마 원전 1호기 격납용기 파손 확률을 1억년에 한 번 일어나는 사고로 계산하면서 안전하다고 했다. 하지만 후쿠시마 원전은 1억년 후가 아닌 불과 7년 후인 2011년에 폭발했다.
고리 1호기 상황은 매우 심각하다.
작은 예로 원자로가 약해져 가동을 시작할 때나 끌 때 조심하지 않으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 시민단체의 우려다. 더구나 격납건물은 경수로 원전 중에서 가장 취약해 사고가 발생하면 방사성물질이 외부로 대량 방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8개 현의 토양이 방사능에 오염됐다고 공식 발표했다. 우리나라로 치면 8개 도, 거의 남한 전체 면적이다.
고리 1호기에 큰 문제가 생기면 양산시민은 생사를 위협받는 지역에 살고 있다. 사후약방문 격인 방재대책이 아니라 고리 1호기 폐로를 논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