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빙기는 한자어로, 얼음이 녹아 풀리는 때를 뜻한다. 이 시기에는 겨울철 얼어있던 땅이 봄기운에 녹기 시작하면서 머금고 있는 수분이 증가해 공사장, 축대, 옹벽 등이 약해진다. 구체적 기간이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해마다 2~4월을 전후로 기상 상황 과 지역적 여건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정하고 있다.
해빙기에 건설현장에서는 주로 비탈면 내 공극수(토양을 형성하는 입자 사이의 틈에 있는 수분)가 얼었다 녹기를 반복해 옹벽, 담장 등 주변 시설물 균열로 무너짐, 흙압력과 수압증가로 인한 지반침하 등으로 흙막이 구조물 무너짐, 현장 주변 침하로 인접 건물 시설물 손상, 지하매설물 파손 등 재해가 발생한다.
해빙기에 발생하는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첫째, 주변 지반과 인접한 건물과 건설현장 가 시설물 등의 침하ㆍ균열ㆍ부식ㆍ손상ㆍ탈락과 상태 이상 여부를 조사해야 한다. 굴착사면 상부에 하중을 증가시킬 우려가 있을 때 차량 운행을 피하고 자재 등을 쌓아두지 않아야 한다.
둘째, 최소 1일 1회 이상 순회점검을 해 가스관, 상ㆍ하수도관 등 안전 상태를 확인하고, 해빙기 융해에 의한 지지력 감소 원인이 되는 얼음 덩어리가 포함된 토사는 되메우기, 성토용 재료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셋째, 절ㆍ성토사면 상부에 쌓였던 눈 녹은 물 유입을 막기 위해 배수로를 정비해야 한다. 또 겨울철에 작업을 중단했던 터널 공사의 경우 낙석으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바위의 탈락 여부를 점검해야 한다.
넷째, 굴착사면 경사도와 지하수위를 측정하고 토사사면 변위의 진행성이 관찰되는 경우 사면 계측을 해 사면 안정을 위한 억제공법 등 근본적인 조치를 해야 한다.
다섯째, 흙을 깎는 경우에는 토질 형상, 지층분포, 불연속면(절리ㆍ단층) 방향 등을 사전에 검토하고 오픈 컷(Open-Cut, 개착)의 경우에는 토질에 알맞은 적정 굴착사면 기울기를 확보해야 한다.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