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이강식 효암고등학교 교사 | ||
ⓒ |
오늘은 첫 번째로 현 정부 대입정책 핵심인 대입 정책 간소화에 대한 것입니다. 현재 대입 간소화 정책은 다음 표로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 |
ⓒ |
이 표에서 위주라는 표현은 핵심 전형 요소가 50% 이상 반영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학생부 위주 전형 유형은 학생부를 주된 전형 요소로 50% 이상 반영하는 전형 유형을 말합니다. 이는 교과 전형과 학생부종합 전형으로 구분합니다. 교과 전형은 학생부 교과 성적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전형(모집 단위 특성에 맞도록 학생부 반영 권장)을 말합니다. 즉 고등학교 내신성적을 중심으로 평가합니다.
학생부종합 전형은 입학사정관 등이 참여해 학생부 비교과를 중심으로 교과, 자기소개서ㆍ추천서ㆍ면접 등을 통해 학생을 종합 평가하는 전형을 말합니다. 학생부 비교과란 내신 성적을 제외한 학교에서의 자율활동, 진로활동, 봉사활동, 동아리활동, 출석상황, 독서상황 등을 모두 이르는 말입니다.
학생부 위주 전형은 평가는 대학에서 하지만 그 내용을 가꾸는 것은 학생과 학교의 몫입니다. 수험생 개인의 3년 동안 노력을 고스란히 담을 수 있습니다.
논술 위주 전형은 대학에서 출제하고 채점해 선발하는 전형입니다. 출제 범위는 고등학교 교육과정 범위 내에서 출제해야 합니다. EBS 교재나 고등학교 교과서를 참고도서로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이를 교육부가 평가합니다.
실기 위주 전형 유형에는 ‘특기자 전형’이 포함되나, 특기자 전형은 모집 단위별 특성 등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한해 제한적으로 운영해 모집 규모를 축소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외부 실적보다 학생부에 기록된 꿈과 끼를 중심으로 평가하도록 권장합니다.
실기 위주 전형은 수학, 과학, 음악, 미술, 체육, 어학특기 등을 포함하는 전형입니다. 개인의 특별한 자질을 드러낼 수 있는 전형입니다.
수능 위주 전형은 그 평가권과 출제권을 정부기관이 가지고 있습니다. 수시에서는 수능을 등급으로만 반영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수시 지역균형 전형의 경우 대학수학능력 시험 4개 영역 가운데에서 3개 영역 이상에서 2등급을 받을 것을 요구하는 형식입니다.
이렇게 본다면 대학입시를 대비하거나 평가하는 주체는 학생과 학교, 대학, 정부기관이 나눠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쉬운 길이 있을까요? 학생부 위주 전형은 가장 쉬우면서도 만만하지 않은 어려운 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