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지역 학부모와 교육현장 곳곳에서 ‘교육장 공모제’를 도입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평균 1년에 불과한 교육장 임기로 인해 그동안 양산교육 중ㆍ장기 발전이 저해됐다며, 최소 2년 임기가 보장되는 교육장 공모제를 통해 능력 있는 교육장을 지역에서 직접 선발하자는 것이다.
교육장 공모제는 말 그대로 공모 형식으로 지역교육청 교육장을 선발하는 제도다. 경력과 서열 중심에서 벗어나 능력 중심 인사를 정착시키겠다는 것으로, 기존 교장 공모제와 취지는 같다.
경남도교육청 박종훈 교육감 공약사항이기도 한 이 제도는 최근 김해교육지원청과 거창교육지원청에서 도입해 공모를 진행했다. 이에 김해는 올해 첫 공모제 교육장을 선발했고, 거창은 지원자 부족으로 무산되는 결과를 낳았다.
경남에서 교육장 공모를 한 것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05년부터 2007년 사이 6차례에 걸쳐 10곳 교육청 교육장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나서 8년 만에 다시 시행한 것이다. 하지만 이번 교육장 공모제는 이전과는 형식이 많이 다르다.
가장 크게는 ‘주민추천’을 병행해 지역주민 의견을 최대한 반영한다는 것이다. 공모지역 교육청 관할 주민 30명 이상 추천을 받아야 하며, 후보를 심사하는 면접 문항 출제위원과 면접심사위원회에도 외부 인사를 50% 이상 참여토록 했다. 교육장 공모제 자격은 교장ㆍ장학관ㆍ교육연구관을 맡고 있으면서 남은 정년이 2년 이상이고, 현직 재직 기간이 1년 이상이 돼야 공모 가능하다. 임기는 2년이다.
이 같은 형식의 교육장 공모제를 양산교육계는 상당히 반기는 분위기다. 더욱이 교육장 공모제 역시 교장공모제와 같이 현직 관리자가 정년퇴임하는 곳만 해당 사항이 있다. 현 교육장이 8월 말 정년퇴임이 예정돼 양산교육지원청이 자격조건에 부합해 이번 기회에 양산지역도 교육장 공모제를 도입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한 학교장은 “양산지역 교육 분위기와 환경을 제일 잘 아는 사람이 교육장이 돼 교육 방향성을 주도해야 한다”며 “그동안 짧은 교육장 임기로 인해 양산교육 현황과 분위기를 파악하고 나면 금세 다른 곳으로 발령이 나버리는 악순환이 반복돼 양산교육을 위한 중ㆍ장기 발전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데 걸림돌이 돼 왔다”고 말했다.
하지만 경남도교육청은 올해 하반기에는 교육장 공모제 계획이 없다고 밝혀 양산지역에 공모제 도입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당초 상반기 김해ㆍ거창 진행 후 여론을 수렴해 하반기 공모제 확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었지만, 지원자 부족 등 이유로 출발이 좋지 않았던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한 교육단체 인사는 “다른 지역에서 상반기 공모제가 진행될 때 양산은 하반기에 도입할 것이라는 소문으로, 지역교육계가 기대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며 “이번 시기를 놓치면 언제 다시 기회가 올지 모르기 때문에 양산지역 교육단체장들이 모여 교육감과 도의원이 함께하는 간담회 자리를 만들어 공식적으로 요청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