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계천 정비사업이 2008년 하천기본설계 설립 후 8년 만에 실시설계가 나왔다. 주민은 대체로 반기면서도 제대로 된 하천정비가 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요구를 쏟아냈다.
경남도는 지난 21일 외산마을회관에서 ‘덕계지구 수해상습지개선사업 실시설계’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박인 도의원과 양산시 공무원을 비롯한 주민 30여명이 참석해 경남도와 실시설계 용역업체 설명을 들은 후 지역주민 여론을 수렴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박인 도의원은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이 사업이 지난해 경남도의회 건설소방위원회 현장방문 활동을 통해 직접 피해현장을 확인하고 주민 의견을 수렴한 뒤 추진에 급물살을 타게 됐고, 비로소 8년 만에 실시설계가 나오게 됐다”며 “상습적인 수해 때문에 불안에 떨어왔던 덕계동 주민의 오랜 숙원이 풀리게 됐다”고 말했다.<관련기사 547호, 2014년 10월 14일자>
덕계천은 덕계동과 매곡동을 잇는 2.65km 규모의 지방하천으로, 축제신설, 교량철거와 재가설, 제방도로와 농로 개설, 낙차공과 보 설치 등의 정비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예산 규모는 보상비와 설계비를 포함 180억원으로 국비와 지방비 5:5 매칭사업이다.
![]() |
ⓒ |
이어 다양한 질문과 주민 의견이 쏟아졌다. 우선 덕계천과 이어지는 소하천 정비도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방하천은 경남도, 소하천은 양산시 담당이라는 이유로 180억원의 대형 정비사업을 하면서 ‘네 것 내 것’ 나눠 선을 긋는 행정을 꼬집으며, 두 기관이 원활한 논의와 협조를 통해 제대로 된 수해지역 개선사업이 됐으면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또 하천 폭이 협소해 축제하는 뚝방길을 산책로 대신으로 활용코자 했지만, 이마저도 매곡마을 일부 구간이 끊겨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주민 숙원사업으로 요구해 온 뚝방길 산책로가 덕계천을 따라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배려해 달라는 주문도 했다. 그 외에도 하천구역정비계획선을 확정하는 데 사유지가 다수 포함됐음에도 불구하고 사유지 소유자에게 구체적인 논의가 없었던 점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