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상지역 환경방사선 측정 결과 전국 평균 자연 방사선량률 정도의 수치가 나왔다. 비교적 안전하다는 것이지만, 고리원전1호기 반경 15 km 내에 포함돼 있는 웅상지역은 아직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는 지적이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달 28일 웅상출장소에 환경방사선 이동실험실을 꾸려 웅상지역 환경방사선 측정을 진행했다. 그 결과 0.13μSv/h로 측정됐으며 별도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전국 자연 방사선률은 0.05μSv/h에서 0.30μSv/h로, 이 안에 포함되는 정도의 안전한 수치다.
이날 한국수력원자력은 “매달 한 차례 이상 웅상지역 곳곳에서 환경방사선을 측정해 이상 유무를 중점 확인하고 관리해 방사선으로부터 안전한 웅상지역을 만드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환경방사선 측정과정을 지켜보기 위해 참석한 주민은 불만과 동시에 다양한 요구를 쏟아냈다.
![]() |
ⓒ |
이장권 전 도의원은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은 발전소 반경 5km로 한정하고 있지만, 실제 원전비상계획구역은 20km 이상으로 설정하는 등 괴리가 있다”며 “정관과 웅촌 등 웅상지역보다 원전에서 먼 곳은 지원대상이 되고 행정구역이 다르다는 이유로 웅상은 지원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는 모순을 하루빨리 해결하기 바란다”고 건의했다.
또 이운대 웅상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은 “원전비상계획구역이 확대됐지만 여전히 실제 원전사고 후 피폭대책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은 없다”며 “시급히 비상메뉴얼을 만들어 주민 불안감을 해소해 달라”고 요구했다.
차예경 시의원(새정치연합, 비례)은 방사선측정기 추가 설치를 강력히 요구했다. 차 의원은 “전국 138곳에 고정식 방사선측정기가 있지만, 원전 근접지역인 양산에는 1곳(좌삼부대 내)밖에 없다”며 “올해 양산시 자체 예산을 편성해 2개를 추가 설치키로 계획돼 있지만 이 역시 역부족으로, 한국수력원자력 차원에서 추가 설치를 반드시 검토해 달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양산시는 “올해 2개 설치 후 2017년에 3개를 더 추가 설치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재해전광판과 양산시청내 전광판, 양산시보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환경방사선 측정수치를 시민에게 공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