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하동훈 고운선형한의원 원장 | ||
ⓒ |
증상이 심해져서 진단을 받아 보니 ‘척추전방전위증’이라고 진단받았다. 우리 주변에 김 씨처럼 ‘척추전방전위증’으로 고통 받는 분이 의외로 많다. 이런 경우 대부분 사람들은 디스크 질환을 의심한다. 증상이 흔해 사람들이 많이 알고 있고, 허리통증을 동반한 척추질환 증상이 일반인이 구별하기에는 어려울 정도로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비슷한 증상과 달리 허리통증을 동반한 척추질환 종류는 디스크나 협착증 외에도 많은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 ‘척추전방전위증’이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의 상하 연결이 느슨해져서 척추 마디가 불안전해져서 척추체가 앞쪽으로 이동해 척추의 정렬이 어긋난 상태를 말한다. 보통 폐경기 이후 50대 이상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고 허리 아래 둔부 쪽에 통증이 나타나며, 허리디스크와 유사한 증상인 허리통증과 하지 저림이 나타난다.
따라서 증상만으로는 구분이 어려워 X-ray 검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다만 증세가 많이 진행된 경우 척추 뼈가 앞으로 이동돼 비만이 아니지만 배가 나와 보인다거나 허리 뒤쪽 한 부분이 움푹 들어간 느낌이 있다면 ‘척추전방전위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척추전방전위증’은 특히나 증상이 점점 더 심해지기 때문에 조기 치료가 중요한데 치료는 우선 척추의 어긋난 상태를 교정하는 추나요법을 한다. 특히 CRT라는 테크닉으로 복부쪽에서 접근해야만 한다. 그리고 손상된 근육과 인대를 침과 약침 요법으로 회복시켜주고 테이핑 기법을 통해 근육과 인대를 보강하게 된다. 그후 맞춤운동과 생활 교육을 통해 평상시 척추를 관리하면서 치료와 예방을 하면 된다.
다리통증, 다리 저림, 걷기 힘듦, 서 있기 힘듦이 계속해서 재발하거나 마비가 나타나면 수술요법만이 호전을 보일 수 있다. 수술 목적은 통증을 없애고 신경마비를 회복시켜 정상적인 신체 활동을 하도록 하는데 있다. 5분 내지 15분 이상을 잘 걷지 못하고 일상적인 활동에 제약이 심하다면 수술을 해야 하니 평소 관리를 잘 해둬야 한다.
척추전방전위증 수술법으로는 단순 신경 감압술, 후방 가로돌기 융합술, 전방 척추 몸통 뼈융합술, 후방 척추 몸통 뼈융합술, 후방 나사못 고정술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