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박성진 논설위원 칼럼] 준공 앞둔 물금신도시를 보는 소회..
오피니언

[박성진 논설위원 칼럼] 준공 앞둔 물금신도시를 보는 소회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15/10/13 10:34 수정 2015.10.13 10:29



 
↑↑ 박성진
본지 논설위원
 
물금신도시 내년 준공 소식
조용한 농촌 전원도시에서
역동적인 산업도시로 변모한
양산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양적, 외적인 성장의 그늘에서
삶의 질에 대한 생각 잊지 말자


양산 물금신도시 조성사업이 22년 만인 내년 말 준공된다는 소식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양산물금지구 택지개발사업 종료다. 1994년 당시 정부는 양산읍과 물금읍, 동면 일부 1천67만여㎡에 대해 <택지개발촉진법>에 의한 택지개발지구로 결정 고시했다.

한국토지공사가 사업자로 선정돼 총사업비 3조원 이상을 투입해 15만 인구 규모 신도시 조성공사에 들어갔다. 5년 뒤인 1999년 중부동 1-1지구 준공이 될 때까지만 해도 순조롭게 보이던 사업은 이후 부동산 경기 침체에 영향을 받아 더디게 진행됐다.

토지 매수를 완료해 놓고도 조성공사가 부진함에 따라 지역 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것을 우려한 지역사회에서는 범시민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정부를 압박하기에 이르렀고, 부산도시철도 연장,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유치 등 커다란 이슈를 성사시키면서 사업 추진에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21세기가 시작된 여명의 시기가 우리 양산으로서는 한 단계 도약하는 디딤판 구실을 톡톡히 한 것이다. 이런 상황의 전개 이면에는 당시 시장과 국회의원, 지역사회단체와 시민의 결집된 힘이 원동력이 됐다. 어떻게 보면, 양산시민 화합과 역량을 볼 수 있었던 처음이자 마지막 장면이 아니었던가 하는 생각이 든다.

30년 전 양산을 기억하는 사람이라면 상전벽해(桑田碧海)라는 말을 실감할 수 있다. 신도시로 변모한 바로 그곳은 50년 전 경지정리가 완벽하게 이뤄져 헬리콥터로 농약을 살포하고 첨단 농기계로 수확하는 대규모 들판이 존재하던 곳이었다. 유유히 흐르는 양산천 주변으로 소 먹이는 아이들이 여름 물놀이를 즐기고, 낙동강과 맞닿은 호포 하구에는 정겨운 낚시꾼들이 경쟁하는 전원 풍경이 있었다.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면 조선 시대에 이곳 농부들의 한 맺힌 사연도 전해오고 있다. 지금 부산대병원이 자리한 물금 가촌 앞들은 ‘메기들’이라 불렸는데 그 사연은 그리 낭만적이지 않다. 낙동강 범람 때마다 거슬러 온 강물로 인해 논들은 대개 침수돼 질척거리는 늪지 같았고 메기가 번성할 정도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중기 낮은 수확에 비해 과도한 세금에 견디다 못한 농민들이 집단으로 중앙에 상소해 감면받았던 기록이 있다. 그때 농민들 건의를 받아들여 실상을 탐문하고 농지세의 영구적 감면에 힘을 기울인 관리들에 대한 공덕비가 발견돼 해마다 농민의 날에 제사를 올리고 있다.

이렇듯 양산이 영농 위주 전원도시에서 역동적인 산업도시로 변모한 근저에는 몇 가지 요인이 있다. 경부고속도로 건설과 부산지역 제조업 이전 러시, 그리고 신도시 조성이다. 경부고속도로 노선과 진출입로 결정이 양산에 유리하게 결정된 것은 지리적으로 울산과 경주 가는 길목에 있었기 때문이다.

대구를 향한 지름길은 밀양, 청도 쪽이지만, 당시 정부가 중화학공업 전진기지로 육성 중인 울산과 세계적 관광도시 경주를 거쳐 가기 위해 노선이 조정된 결과다. 경부선 철도가 양산 중심부를 지나지 않은 데다 고속도로마저 이곳을 통과하지 않았더라면 양산의 면모는 지금과는 많이 다른 모습이었을 것임이 틀림없다.

1970년대 들어 부산지역 성장 과정에서 도심에 있는 중소 제조업 역외 이전 정책은 인근 소도시인 양산과 김해의 산업화 현상을 부추겼다. 이른바 풍선 효과가 나타난 것이다. 당시 유산리 양산공단을 필두로 웅상 소주공단, 북정ㆍ산막공단, 어곡공단 등이 속속 조성되면서 수천개 공장들이 이곳에 둥지를 틀었다.

이런 산업화 현상을 배경으로 주거단지 확대 필요성이 대두된 것은 당연한 결과다. 1990년대 초 호황을 누리던 경제적 여건에 편승해 대규모 신도시 조성이 가시화됐다.

신도시 조성사업은 부작용도 없지 않았다. 무분별한 난개발로 아름다운 자연환경이 훼손되고 기형적 발전의 부산물로 주거와 교육환경의 붕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지자체 책임은 보다 엄중하게 부여됐으며 지금도 이런 요구에 부응하지 못할 경우 시민 질타가 준열하다.

너른 택지에 하늘과 맞닿은 고층 아파트, 눈부신 녹지와 생동감 넘치는 공원 등 신도시의 밝은 면에 가려 보이지 않는 도시의 이면을 생각하는 작업은 결코 중단돼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