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이혜옥 고려수지침학회 신양산지회장 055)383-3534 | ||
ⓒ |
갑자기 목이 뻣뻣하고 어깨가 결리며 팔이 저리고 근력약화가 온다면 목 디스크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목 디스크는 목뼈 신경공(신경이 지나가는 구멍) 근처에서 목 신경이 디스크나 뼈 돌기에 의해 압박되면서 발생한다. 대부분 환자는 그저 ‘담이 걸렸다’, ‘수족 냉증이다’ 해 그냥 아픈 대로 참고 지내다 상태가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모든 포유동물은 일곱 개의 목뼈를 갖고 있고 여덟 쌍의 신경근이 경추로 빠져 나와 어깨, 팔, 손가락으로 가게 된다. 목 디스크 병은 경추 4ㆍ5번과 6ㆍ7번에서 90% 정도가 발병하고 있다. 또한 디스크 탈출 부위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4ㆍ5번 목 디스크 병은 어깨ㆍ삼각근 부위에서, 5~6번은 1지와 2지, 6~7번은 2지와 3지, 7번과 흉추 1번 사이는 4ㆍ5지에 이상이 생겨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목 디스크 병이 허리 디스크 병보다 무서운 것은 하반신 마비 혹은 사지 마비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목 디스크는 경추 추간판탈출증으로 연성 목 디스크병과 경성 목 디스크병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뼈의 이상변화는 거의 없고 디스크 수핵이 밀려나와 신경을 누르는 경우를 말한다.
후자는 나이가 들면서 퇴행성에 의한 변화로 발생하는 골격이나 뼈의 비대화로 신경 통로인 추간공이 좁아져 압박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호발연령은 주로 40~50대가 가장 많아 목 디스크 대부분이 퇴행성질환임을 보여준다. 연성 목 디스크병은 어느 연령층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급성으로 발병되는 경우가 많다. 초기에 목을 움직일 때마다 통증을 느끼고 때로는 두통을 호소하기도 하며, 등 뒤 흉추부 앞가슴, 옆 가슴 등에 통증이 나타난다.
![]() |
ⓒ |
또 심정방과 소장승방을 하고 하루에 2~3회, 1회에 5~6장 정도 황토 서암뜸을 꾸준히 떠 주면 빠른 효과를 보게 된다. 잘 해소되지 않을 경우 금경목걸이를 착용하면 심장기능을 활발하게 하고 머리까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 통증해소에 많은 도움이 된다.
증상이 심해지면 목의 통증과 아울러 팔이 저리고 당기며 손가락까지 저리게 된다. 증상이 오십견이나 테니스엘보와 비슷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어 자칫 병을 악화시킬 수가 있다. 만약 팔까지 저리다면 손가락 4지 명혈에 자극을 주면 저린 증상이 해소된다. 저린 증상이 나타나는 팔의 손목에 금경팔찌를 착용하면 탁월한 완화 효과가 있다.
목 디스크를 유발하는 나쁜 자세는 일을 할 때 목을 앞으로 빼는 것, 엎드려 자는 것, 누운 상태에서 베개를 받쳐 목을 세우고 TV나 책을 보는 것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