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이강식 효암고등학교 교사 | ||
ⓒ |
정시에서는 백분위 점수나 표준 점수를 사용합니다. 수도권 상위권 대학은 표준점수를 중위권 대학은 백분위 점수를 반영합니다. 부산 울산 경남 지역 대학은 주로 표준 점수를, 대구 경북권 대학들은 백분위 점수를 반영합니다.
수시 전형에서 불합격하거나 정시를 준비하는 수험생이 지금부터 해야 할 일은 정시희망 대학 정보를 찾고 자신이 유리한 대학을 찾는 것입니다. 정시 정보를 찾기 위해 점검해야 할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수능과 관련된 용어에 담긴 의미를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적어도 표준점수, 백분위의 개념과 속성을 이해해야 합니다. 표준점수는 수험생 원점수가 전체 수험생 평균 성적에서 떨어진 거리를 나타낸 점수를 말합니다. 평균이 낮은 어려운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받은 학생 표준 점수가 높습니다. 이번 수능에서는 수학 A형과 영어에서 높은 표준 점수를 보였습니다.
반면 3등급 이하 중위권등급 구간은 표준 점수 차이보다 백분위 차이가 커져 백분위가 표준 점수보다 변별력이 커집니다. 중위권 대학들이 백분위 점수를 사용하는 이유입니다. 수도권 주요대학과 부산대학교는 탐구 영역에 변환표준점수를 활용합니다. 국어·영어·수학영역은 수험생들이 같은 시험을 치르기 때문에 표준 점수를 그대로 반영해도 되지만, 탐구 영역은 수험생이 선택한 탐구 과목에 따라 유불리가 생길 수 있습니다.
사회탐구 경제는 표준점수 최고점이 69점이고 한국사 표준점수 최고점은 63점입니다. 최고점 간에도 무려 6점 차이가 납니다. 선택과목에 따라 같은 만점도 표준 점수와 백분위가 달라집니다. 즉 수험생 능력 이외에 다른 학생이 선택한 과목에 따라 점수에 영향을 받는 것입니다. 이런 불합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학은 탐구 영역에서 표준점수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대학별 환산 방법에 따른 변환 표준 점수를 사용합니다.
두 번째로 수능 성적과 대학별 수능 반영방법을 분석해야 합니다. 수능 반영방법이 대학마다 다양하므로 영역별 수능 성적에 따라 지원 가능 대학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학별로 수능 반영영역과 수능 성적 활용 방법, 탐구 영역 반영 과목 수, 특정 영역 가산점 부여 여부 등을 따져 수능 성적을 분석하고, 응시 영역 중에 어떤 영역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한지 면밀히 살핀 다음 지원해야 합니다.
세 번 지원 기회를 각군별로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합니다. 흔히 안전1, 소신1, 적정1의 전략으로 접근하라고 합니다. 이것은 가, 나, 다 군 대학들 배치를 참고해야 합니다. 주요대학은 가군과 나군에서 주로 선발합니다. 다군의 합격 성적이 올라 갈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그리고 가군과 나 군에서 희망대학군의 모집인원과 영향을 주고받는 상위 대학의 선발 인원의 가, 나 군 배치상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접근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