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박성진 논설위원 칼럼] 웅상의 분노..
오피니언

[박성진 논설위원 칼럼] 웅상의 분노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16/01/26 11:11 수정 2016.01.26 11:05



웅상지역 경제 발목 잡는
회야하수처리장 착공 지연
지역 주민 볼모로 한 대치는
양산시와 울산시 동시 책임
조속한 협의로 해결하는 한편
처리장 운영 이양 모색해야

 
↑↑ 박성진 논설위원
 
국회의원선거를 앞두고 여러 명의 예비후보들이 저마다 웅상의 장밋빛 미래를 설파하고 있지만 막상 바닥 민심은 싸늘하기만 하다. 4개 동 중에서도 서창동은 웅상지역 중심부라 할 수 있는데 최근 출장소마저 떠나고 상권은 침체일로라 을씨년스러운 모습까지 보이고 있다.

서창시장을 끼고 중심 간선도로 주변 상점 중 상당수가 비어 있거나 새 주인을 물색하고 있지만 반응은 냉담하다. 그나마 어쩔 수 없이 문을 열고 있는 가게도 적지 않다고 한다. 서창 상인들을 먹여 살리는 건 외국인 근로자라는 푸념마저 나오고 있다.

오랜 기간을 웅상지역에서 살아온 주민은 실물 경제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인구 유입이 필수적이라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최근 입주를 시작한 삼한사랑채, 공사 중인 롯데캐슬을 비롯해 인근 지역에서 건축 심의를 받았거나 착공을 앞둔 대규모 아파트 건설 움직임은 바닥에 머무는 웅상지역 경기를 살릴 수 있는 호재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었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난데없는 하수처리 문제에 발목이 잡혀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져 지역 주민에게 청천벽력 같은 실망감을 안겨주고 있다.

양산시 전체를 두고 보았을 때 물줄기는 크게 둘로 나뉜다. 천성산을 경계로 서부지역은 시청을 중심으로 한 원도심 주변인데 하북면 영축산에서 발원해 낙동강으로 유입되는 양산천이 하수의 배출구 역할을 하고 있다. 양산시가 민자유치사업을 통해 서부지역 대부분 하수를 함께 처리하는 종합하수처리장과 인입관로사업을 완료했다. 개별적인 하수 처리가 필요 없게 됨에 따라 가정 정화조는 사라진지 오래다.

웅상지역은 거꾸로 북동쪽으로 흐르는 회야천이 하수 통로다. 회야천은 무지개폭포 상류에서 시작돼 웅상 4개 동을 관통한 뒤 울산 웅촌면을 거쳐 회야댐에 유입된다. 여기서 문제가 제기된다. 회야댐은 울산시민 식수 원수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회야천에 흘러들어 간 하수를 댐에 들어가기 전에 정화할 필요가 있다.

그 과정은 웅상과 웅촌지역을 모두 아우르는 차집관로를 통해 하수를 유입, 처리하는 회야하수처리장이 담당하고 있다. 회야하수처리장 운영 주체는 울산시다. 이러다 보니 웅상지역에서 일정 규모 이상 하수 발생이 예상되는 사업을 추진할 때는 울산시와 협의가 필수적이다.
 
산업단지나 택지조성사업, 대규모 아파트 건설사업 등이 그 대상이다. 다시 말하자면 이런 대규모 사업 추진의 키를 울산시가 쥐고 있다는 말이다. 문제는 건설될 예정인 2천200세대 규모 아파트가 울산시 협의 거부로 발목이 잡혀있다는 것이다. 그 밖의 공동주택사업 추진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진 걸까.

양산시는 수년 전부터 회야하수처리장 처리 용량 증설을 위해 울산시와 협의를 계속해 왔다. 2013년에는 현행 하루 3만2천톤 처리 용량을 7만2천톤으로 증설하는 기본계획 변경 승인을 마쳤다. 실시설계는 물론 국비 지원까지 확보해 총사업비 715억원을 투입해 2018년 준공을 목표로 올해 초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었다.

시공 삽을 뜨기 직전 시점에 문제가 발생한 것은 양산시와 울산시 사이에 사업비 분담을 놓고 이견이 생긴 때문이다. 울산시가 사업비 협의 난항으로 착공을 미루면서 졸지에 주택건설 사업이 직격탄을 맞게 된 것이다. 더 큰 문제는  건축 심의를 마친 상태에서 착공을 눈앞에 둔 다른 아파트 건설사업도 시기를 놓치고 있다는 것이다.

웅상지역 하수처리 문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퍼스트 웅상’을 내세우는 양산시는 물론이고 웅상을 근거로 하는 정치인이라면 누구나 공약으로 내걸어 왔던 최대 현안이다. 부산도시철도 1호선 연장과 함께 지역경제를 살리는 첩경으로 인식돼 온 숙제이기도 하다. 울산시민 식수로 사용된다는 이유로 상류에 있는 웅상주민이 장기간 피해를 입고 있음을 울산시는 잊어서는 안 된다.

칼자루를 쥐고 있는 울산시의 전향적인 자세도 필요하지만 이참에 양산시는 회야하수처리장 증설은 물론, 관리권 이양을 포함한 주도적 합의를 이끌어낼 각오를 해야 한다. 웅상지역 주민의 소리 없는 분노를 헤아린다면 언제까지나 우리 고장 살림살이 명줄을 남에게 맡겨 놓을 수는 없지 않은가.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