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이혜옥 고려수지침학회 신양산지회장 055)383-3534 | ||
ⓒ |
뇌 흑질에서 불완전한 도파민 생성과 작용으로 도파민 신경세포 생성이 50% 이상 줄어들 때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 즉 파킨슨병 원인은 도파민이라는 뇌신경전달물질 부족(도파민을 생성하는 세포가 없어지는 것)이므로 치료의 기본도 부족한 도파민을 공급해주는 것이다.
엘-도파라는 물질을 경구로 투여하게 되면 이 물질이 장에서 흡수돼 뇌 조직으로 간 뒤 뇌내에서 도파민으로 바뀌어 뇌세포에 작용하게 된다. 현재까지는 일정기간 동안 약물을 복용해서 소실된 뇌세포를 재생시키는 치료방법은 없으므로 파킨슨병은 엄격한 의미의 완치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파킨슨병에 대한 치료는 당뇨병 치료와 비슷하다. 적절한 약을 적당하게 복용하는 동안에는 증상이 없어지거나 약해지지만 약물 복용을 중단하면 증상이 다시 나타나게 되므로 꾸준한 약물 복용이 필요하다.
파킨슨병 치료에는 세 가지 방법이 있는데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그리고 수술에 의한 치료가 있다. 약물치료는 매우 세심한 조절이 필요해서 담당 신경과 의사와 환자, 보호자간 주의 깊은 관찰과 의논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규칙적인 약물복용과 운동으로 관리해야 한다.
파킨슨병 주 증상은 떨림증, 근경직, 서동증(행동 느려짐), 보폭 좁아짐, 발이 땅에서 안 떨어짐 등이다. 근경직은 근력 약화를 초래하고 운동장애 원인이 된다. 자세도 변화가 오게돼 몸 전체가 앞으로 구부정해지며 어깨는 처지게 된다.
옷을 입고 벗기가 어렵고, 세수나 식사 등도 어려워진다. 평형을 유지하기가 어렵고, 종종걸음을 하게 돼 걷기도 힘들게 된다. 눈 깜박임도 어려워지고 얼굴 표정짓기가 힘들어 얼굴이 가면을 쓴 것 같게 된다. 초기증상으로 유난스럽게 잠꼬대를 하기도 한다.
파킨슨 치매는 환각을 보며, 파킨슨병은 중년에서 노년에 걸쳐 발증되며 서서히 진행된다. 히틀러, 트루먼, 모택동, 세계적인 복싱 스타로 군림했던 무하마드 알리를 무색케 했던 질병이 바로 파킨슨병이다.
![]() |
ⓒ |
서금요법으로는 간기능 조절과 뜸요법을 한다. 서암황토뜸을 시간이 날 때마다 여러 장씩 떠 준다. 특히 뜸은 세포 재생 능력이 탁월하기 때문이다. 기본방과 K9, F4, N18, B14, B18, B19, B24에 떠준다. 삼일체형에서 양실증과 신실증은 간승방을, 음실증은 간정방을 이용한다.
좌우수 3지에 음양석 반지를 착용하는 것도 치료에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