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빙기는 한자로 풀이하면 얼음이 녹아 풀리는 때를 뜻한다. 이 시기에는 겨울철 얼어있던 땅이 봄기운에 녹기 시작하면서 머금고 있는 수분량이 늘어 공사장, 축대, 옹벽 등이 약해진다. 구체적인 정의나 기간이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해마다 2~4월을 전후로 기상 상황과 지역 여건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정하고 있다.
기온이 0℃ 이하로 떨어지는 겨울철에는 지표면 사이에 남아있는 수분이 얼어붙어 토양이 부풀어 오르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했다가, 해빙기가 되면서 동결됐던 지반이 융해돼 침하하면서 시설물 구조를 약화시켜 균열이 발생하고 붕괴되기 때문에 해빙기가 특히 위험한 시기다.
이 시기에 건설현장에서는 주로 무너짐과 낙석, 낙방 등에 의한 재해가 발생한다. 흙막이 지보공과 절ㆍ성토사면, 지반침하로 인한 무너짐에서 발생하는 깔림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주변 지반과 인접 건물, 건설현장 가시설물 등의 침하ㆍ균열ㆍ부식ㆍ손상ㆍ탈락 유무와 상태 이상 여부를 조사하고, 굴착사면 상부에는 하중을 증가할 우려가 있는 경우 차량운행을 지양하고 자재 등을 쌓아두지 않는다.
또 최소 하루 1회 이상 순회점검을 통해 매설물(가스관, 상ㆍ하수도관 등) 안전 상태를 확인하고, 해빙기 융해에 의한 지지력 감소 원인인 얼음 덩어리가 포함된 토사는 되메우기와 성토용 재료로 사용하면 안 된다.
절ㆍ성토사면 상부에 쌓였던 눈 녹은 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산마루 측구 또는 도수로 등 배수로를 정비하고 동절기에 중단했던 터널공사의 낙석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암괴 탈락 여부를 점검해야 한다.
굴착사면 경사도ㆍ지하 수위를 측정하고 토사사면 변위 진행이 관찰되면 사면 계측을 하고 사면 안정을 위해 억제공법 등 조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절토하는 경우에는 토질 형상, 지층분포, 불연속면(절리ㆍ단층) 방향 등을 사전에 검토하고 오픈 컷(Open cut)의 경우에는 토질에 알맞은 적정 굴착사면 구배를 확보해야 한다.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