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김민희 기자 | ||
ⓒ 양산시민신문 |
쓰지 않는 물건뿐만 아니라 개성 넘치는 예술 공예품, 먹거리, 핸드메이드 제품 등을 시민이 공유하는 이 프리마켓은 서울 홍대 앞 예술시장을 비롯해 이태원, 삼청동 등 수도권을 비롯해 전주시, 강릉시 등 전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았다.
양산에도 프리마켓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지역공동체, 예를 들어 양산 엄마들이나 특정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모인 온라인카페에서 시작한 프리마켓이 곳곳에서 열리고 있다.
지역 사람들이 질 좋은 제품을 저렴하게 접할 수 있고 쓸모없는 것처럼 보였던 물건이 서로 순환돼 유용하게 사용된다는 점에서 프리마켓은 충분한 가치를 가진다. 거기다 대부분 프리마켓 목적이 ‘어려운 이웃돕기’니 나눔의 훈훈함까지 더한다. 공연이나 전시, 양산시에서 진행하는 축제 말고 ‘놀 수 있는 것’이 없던 지역에 또 다른 놀거리가 생긴 것도 긍정적인 부분이다.
특히 양산에서 열리는 프리마켓은 인근 지역에서 유입된 이들을 하나로 뭉칠 수 있게 하는 ‘지역공동체 형성’이란 측면에서 가장 큰 의미가 있다. 신도시 인구 유입이 많고 생활권을 부산, 울산에 둔 이들이 많은 양산 특성상 지역공동체 의식은 강하지 않은 게 현실이다. 이런 사람들에게 내 이웃을 만나서 소통할 수 있는 ‘프리마켓’은 지역공동체 의식을 키울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이 됐다.
참가자들은 한 달에 한 번 열리는 프리마켓을 기다리게 됐다. 단순히 ‘어떤 물건을 살 수 있을까?’가 아닌, ‘이번에는 어떤 사람을 만날 수 있을까?’하는 기대를 하게 됐다. 단순히 물건을 사고파는 것이 아니라, 이웃 간 정을 주고받는 자리가 된 것이다.
그러나 최근 프리마켓에 ‘단속 바람’이 불었다. 마켓이 열리는 위치가 문제였다. 상행위가 허용되지 않는 도시공원에서 ‘판매 행위’를 했다는 이유로 프리마켓을 규제한 것이다. 프리마켓 참가자들은 ‘공원만큼 시민에게 안전한 곳도 없고 지역에 프리마켓을 할 만큼 넓은 곳을 찾을 수 없다’며 프리마켓 허가를 요청했지만, 양산시는 법에 저촉되는 행위를 허용해 줄 수 없다는 논리로 거절했다.
시에서 걱정하는 부분은 알고 있다. 좋은 취지기 때문에 프리마켓을 예외적으로 허용해주면, 이를 이용해 상인들이 일반 시민인 척 프리마켓에 진입해 판매 행위를 할지도 모른다는 염려는 이해한다.
하지만 프리마켓을 운영하는 사람과 이에 참여하는 시민도 바보는 아니다. 공동체 문화로서 자체 규칙을 만들어 진행했기에 지금까지 시민이 만든 프리마켓 문화는 탈 없이 잘 유지돼 왔다.
시민이 직접 가꿔온 자생문화 싹을 행정의 잣대로 망가뜨려서는 안 된다. ‘상행위’라는 좁은 시야가 아닌 ‘지역공동체 문화’로 프리마켓을 바라보자. 행정에서 해야 할 것은 이들의 자생력을 믿는 것과 이들이 한층 성장해 양산을 대표하는 문화가 되도록 지원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