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을까? 쓰쓰가무시병은 백신이 개발되지 않아 예방접종할 수 없어 누구든 감염될 수 있다. 쓰쓰가무시병은 쓰쓰가무시균이 풀숲이나 들쥐에 기생하는 털진드기 유충에 있다가 야외 작업하는 사람을 물 때 몸속으로 침입해 두통, 고열, 오한, 근육통 등 질병을 일으킨다.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할 수 있는 대표적인 가을철 발열성 질환이다. 털진드기 수가 증가하기 시작하는 9월부터 발생하기 시작하고 11월에 절정을 이루다 12월부터 감소한다.
쓰쓰가무시병에 감염되면 ▶피부발진 ▶진드기로부터 물린 상처(검은 딱지) ▶38℃ 이상 고열이 이틀 이상 지속 ▶심한 두통이나 기침, 근육통이 지속 ▶폐렴, 심근염뇌수막염 등 합병증이 생긴다.
쓰쓰가무시병은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가을철 야외에서 작업할 때는 ▶작업 전에는 긴 옷과 토시, 장화 신기, 벌레 쫓는 약 뿌리기 ▶작업 중에는 풀숲에서 휴식 금지(필요하면 돗자리 사용), 풀숲에서 용변 금지 ▶작업 후에는 바로 목욕, 작업복과 돗자리 깨끗이 세탁하기 등 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청명한 가을 하늘이 야외로 유혹하지만 아름다운 가을 정취를 느끼는 장소에는 쓰쓰가무시병도 함께 있다는 점을 항상 염두에 둬야 한다.
![]() | ![]() | |
ⓒ 양산시민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