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산시민신문 |
“아랫돌 빼서 윗돌 괴기 아니냐?!”
건설 폐기물 중간처리 업체는 업종 특성상 분진, 매연, 돌가루 등이 발생해 대표적인 기피시설로 통한다. 수년 간 웅상지역에서 만성 민원을 유발해 왔던 이들 업체가 산업단지를 조성해 흩어져 있던 업체를 한데 모으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위치는 국도7호선과 대체 우회도로 사이에 입지한 명동지역 야산으로 민원을 최소화 할 수 있다며 주장하고 있지만, 투자의향서 단계부터 거센 주민 반발에 부딪치고 있다.
지난달 (주)대동광업을 비롯한 5개 업체가 명동 산 110-4번지 일대 22만7천712㎡ 규모 실수요자 개발방식으로 가칭 명동일반산업단지를 조성하겠다는 투자의향서를 양산시에 제출했다. 이들이 유치하겠다는 업종은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인데 돌, 모래, 점토 형태 각종 비금속 광물을 원료로 시멘트, 레미콘, 아스콘 등을 제조하게 된다.
문제는 위치다. 산단 사업주체측이 계획하고 있는 위치는 사실상 주거 밀집지역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산단 예정지 대표번지를 중심으로 1km 반경에 웅상지역 4개동 주거지가 모두 포함돼 있다(지도 참조). 공단 경계로 측정하면 그 범위가 훨씬 넓어진다. 더욱이 웅상초, 평산초 등 초등학교는 물론 웅상도서관까지 근접해 있어 아이들 학습권과 안전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 |
↑↑ 지난 1일 명동산단 관련 5분 자유발언을 청취하기 위해 모인 학부모들로 양산시의회 본회의장이 발디딜 틈 없이 가득차 있다. |
ⓒ 양산시민신문 |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서창지역 이ㆍ통장들이 가장 먼저 반발하고 나섰다. 지난달 17일 명동산업단지 반대대책위원회를 결성하고 지역주민과 연대해 반대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반대대책위는 “지난해 개발 시도를 했다가 서창동 주민 반대로 한 차례 허가신청이 철회 됐는데 또 다시 투자의향서를 제출했다”며 “각종 유해물질을 발생하는 아스콘과 시멘트가루, 돌가루, 비산먼지로 주민 피해가 심각할 것이며, 6개 업체 소속 300대 가량 추산되는 대형트럭 통행으로 주민 안전도 보장받을 수 없다”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학부모들도 집단행동에 들어갔다. 지난 1일 양산시청 앞에서 ‘명동산단 계획 즉각 철회’를 촉구하는 집회를 진행했다. 산단 예정지 인근 웅상초, 평산초, 대운초, 천성초, 서창초 학부모는 물론 다른 지역에서 조성 중인 산업단지로 피해를 호소해오고 있는 어곡초, 소토초, 양주중 학부모까지 연대해 100여명이 넘는 학부모들이 모였다.
양산학부모행동은 “산단으로 피해를 입고 있는 학교와 학부모의 빗발치는 항의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또다시 학교와 인접한 곳에 산업단지를 유치한다는 것은 자라는 아이들 건강을 담보로 게임을 하는 비정한 선전포고와도 같다”며 “분진, 미세먼지, 비산먼지, 벌크먼지 등은 어린 아이들 호흡기는 물론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으며 심혈관 질환, 심장질환, 심지어는 암까지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언론보도를 통해 그 심각성이 여러 번 보도됐다”고 산단 조성 철회를 외쳤다.
ⓒ 양산시민신문 |
정치권도 힘을 보탰다. 차예경 시의원(민주, 비례)이 1일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명동산단 문제점을 지적했다.
차 의원은 “국도7호선이 지나고 웅상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중심에 있는 명동 110-4번지 일대는 누가 봐도 도시 중심이며, 향후 양산시 숙원인 50만 인구 증가에 큰 보탬이 되는 웅상 주거생활 동력이 될 곳”이라며 “대규모 개발사업 발목을 잡고 있던 회야하수처리장 문제가 해결되면서 웅상 도시개발사업에 숨통이 트이고 잠시 추춤했던 인구유입에도 청신호가 켜졌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시점에서, 지역 중심부에 산업단지를 허가해 정책적 퇴보의 과오를 저지르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웅상지역 온라인카페 웅상이야기, 웅사모 등과 각종 학부모 밴드, 페이스북 등에서 명동산단 반대에 동참하는 온라인 서명운동이 펼쳐지고 있다.
한편, 양산시는 1일 오후 5시 웅상출장소에서 반대대책위, 학부모 대표단들과 간담회를 가지며 주민 뜻을 수렴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이 자리에서 나동연 양산시장은 “지금은 어디까지나 개인사업주가 투자의향서를 제출한 단계로, 양산시가 허가를 내주거나 허가에 찬성 의사를 내비친 사항이 결코 아니다”며 “주민 반대 의사를 충분히 담아, 사업 타당성 검토를 꼼꼼히 하겠다”고 말했다.
![]() |
ⓒ 양산시민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