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양산 초ㆍ중ㆍ고교 3곳 중 1곳 보건교사 없다..
교육

양산 초ㆍ중ㆍ고교 3곳 중 1곳 보건교사 없다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입력 2016/12/27 10:00 수정 2016.12.27 10:00
중학교는 배치율 50% 불과
18학급 이상 초등학교만 의무
소규모 학교, 중ㆍ고교 선택
교사 총정원제로 순위 밀려

양산지역 초ㆍ중ㆍ고교 3곳 중 1곳은 보건교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독감환자 급증은 물론 수두, 유행성이하선염, 수족구, 결핵 등 학생 위협 감염병이 증가하는 있는 만큼 보건교사 확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양산교육지원청에 따르면 양산지역 학교 60곳 가운데 40곳에만 보건교사를 두고 있다. 이 가운데 비정규직 보건교사를 채용하고 있는 일부 사립학교도 있어 실제 보건교사는 더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중학교 경우 학교 14곳 가운데 절반인 7곳만 보건교사를 배치해 배치율이 50%에 불과했다.


이 같은 상황은 학교보건법 제15조2항에 ‘모든 학교에 보건교육과 학생들의 건강관리를 담당하는 보건교사를 둔다’고 명시하면서도 ‘일정 규모 이하 학교에는 순회 보건교사를 둘 수 있다’는 예외 규정을 둬 생긴 문제로 분석한다. 초등학교 경우 ‘18학급 이상일 때 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중ㆍ고교는 이 조차도 의무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현재 보건교사가 없는 학교는 일반 교사가 보건업무를 겸하고 있다. 전문성이 부족한데다 업무 부담감도 심하다는 것이 학교 현장 설명이다. 감염병은 물론 응급상황에서 신속한 대처가 어려워 학생 안전과 보건, 위생이 동시에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 양산시민신문


실제 지난 2009년 신종플루가 학교를 강타했을 때 양산지역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한 학교 2곳 모두 보건교사가 없었던 것으로 드러나, 보건교사 필요성이 대두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일부 학교는 “학생이 감소하면 교사 정원도 줄어들고, 그 정원이 축소되면 보건교사는 대체로 일반교과 교사보다 우선순위에서 밀려 난다”며 “정부가 교사 정원을 늘리지 않는 한 보건교사 확보는 불확실하고 결국 피해는 학생이 입을 수밖에 없다”고 해명했다.


더욱이 18학급 이하 소규모 학교는 의무사항이 아니다보니 비교적 학급 수가 적은 도심 외곽지역 학교에 보건교사가 없는 상황이다. 병ㆍ의원이나 보건소가 가까운 도심보다 오히려 의료사각지대인 외곽지역 학교에 보건교사가 더 필요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실제 보건교사 배치현황을 보면 원동, 상ㆍ하북지역 소규모 학교에 보건교사가 상당히 미비한 실정이다.


심경숙 시의원(민주, 물금ㆍ원동ㆍ강서)은 “차선책으로 보건교사 순회근무를 한다지만 그것도 문제”라며 “보건교사는 일반적인 보건교육도 하지만 수시로 발생하는 각종 응급조치를 해야 하는데, 한 명이 다른 학교를 순회하게 되면 반쪽짜리 보건관리를 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덧붙여 “교사 총정원제 등 경제적 여건 때문이라고 불가피함을 강조하겠지만, 학교 현장에서 우리 아이 안전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며 “보건교사 배치를 의무화하자”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