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산시민신문 |
부산시가 낙동강 하구둑을 개방한다는 방침을 밝히자 지역 정치권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국민의당 양산시지역위원회가 지난 16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낙동강 하구둑 개방 시 양산지역 수해 피해가 예상된다며 대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진 것.
홍순경 갑 위원장은 “1987년 낙동강 하구둑이 건설되기 전 현재 양산신도시가 조성된 곳에 해마다 침수가 발생해 농경지가 잠기는 것을 보고 자랐다”며 “서병수 부산시장이 2025년 하구둑을 완전 개방한다고 하는데, 이에 대해 양산시 대응은 전무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또한 “양산시 배수능력은 시간당 75m인데, 태풍 차바와 같이 시간당 200m가 내리면 물난리가 날 수밖에 없다”며 “그마나 낙동강 하구둑이 바닷물 유입을 막아줬기 때문에 신도시가 물에 잠기는 최악을 피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홍 위원장은 “보고서에 따르면 낙동강 하구둑이 없을 때 만조 시에는 하구둑에서부터 42km 지점인 밀양까지 바닷물이 올라가고, 간조 시에는 25.5km 지점인 물금취수장까지 바닷물이 유입된다”며 “하구둑이 철거될 경우 호우에 대비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하면서도 환경단체가 주장하는 생태계보호 차원에서 하구둑 개방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양산시민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일이 우선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