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동절기 산업현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사고 중 가장 주안점을 둬야 하는 것이 바로 전도재해가 아닌가 싶다. 지난해 우리나라 산업재해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사고유형이 바로 전도사고, 즉 넘어져 다치고 사망한 사고였다. 비율을 보면 전체 산업재해 21.5%인 2만1천242건이 전도사고였다. 산업현장에서 일어나는 미끄러짐, 넘어짐 사고는 재해 통계상 많은 비중을 차지할 뿐 아니라, 골절, 척추손상, 그리고 뇌진탕에 의한 사망 등 재해 정도에 따라 심한 경우도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
전도사고 주요 원인은 시설의 불안전한 상태와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에서 찾아낼 수 있다. 먼저 시설 측면에서는 처마 밑, 우수로, 작업장 주변 경계 등에서 빙판이 많이 만들어지고 있다. 동절기 특성상 체온저하에 따라 순발력이 부족한 상태의 근로자들이 결빙된 바닥에 발을 내디디면서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한 사고예방 대책으로는 시설 측면에서 보면 바닥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물길을 조정하고 결빙 지역은 모래, 부직포, 염화칼슘 등을 사용해 미끄럼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시 결빙지역에는 ‘위험’ 표식을 설치해 보행자가 미끄러운 곳임을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 야간에는 어두운 곳 조명을 개선하는 등 노력도 필요하다. 근로자 예방대책으로는 주머니에 손을 넣고 걷거나 뛰는 행동은 넘어짐 사고의 가장 큰 요인이라는 것을 근로자 스스로가 필히 인지해야 한다. 필요에 따라 관리자들은 이를 수시로 교육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분명 알아둬야 할 것은 전도사고가 결코 가벼운 부상으로만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심할 경우 척추장해, 뇌진탕 등 돌이킬 수 없는 큰 상해를 입을 수 있다. 특히 나이가 많은 근로자 경우 그 위험 가능성은 더욱 크고 더욱 오래갈 수밖에 없다. 그동안 동절기 사고예방 대책 중에서 뒤로 처져 있던 전도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와 근로자 교육이 앞으로 가장 중요시되고 필요시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