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가 지난해부터 야심차게 추진했던 전기차 민간보급 성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 보조금을 올리고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을 선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양산시에 따르면 지난 2월부터 전기차 35대를 민간에 보급하기로 하고 공모에 나섰지만 현재 11대만 신청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역시 15대 보급에 그쳐, 현재 양산지역 전기차 등록 수는 모두 26대다.
양산시는 당초 지난해 30대, 올해 50대, 이후 해마다 100대 이상 지속 보급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처럼 보급이 저조한 것은 다른 지자체에 비해 낮은 지자체 지원금과 충전 인프라 미비가 주요인으로 지목받고 있다.
현재 전기차를 구입할 때 정부 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을 지원한다. 정부 보조금은 전국 어디서나 1천400만원으로 동일하지만 지자체 보조금은 지자체별로 차이가 있다. 최대 1천200만원에서 최소 300만원을 지원하는데, 양산시는 이 가운데 최저 금액인 300만원을 지원한다. 인근 창원시 500만원, 김해시 600만원과 비교해도 낮은 편이다.
이에 대해 양산시는 “당초 지자체 지원금을 결정할 때 일반차종 구매 수준에 맞춰 지원한다는 방침에 따라 경남도 전체가 300만원으로 책정한 것”이라며 “올해 창원시와 김해시가 지원금을 상승시켜 차등을 보였는데, 양산시 역시 보조금 상승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덧붙여 “하지만 보조금 100~200만원을 올리는 것보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이 더 시급한 문제로 올해는 충전기 설치 지원과 민간 설치 유도 확대 등을 추진하는데 매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 양산시민신문 |
실제 양산지역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급속충전기는 양산종합운동장과 하북 내원휴게소 2곳 뿐이다. 이마트트레이더스, 이마트 양산점, LG베스트샵 양산북정점에 공용 완속충전기 3대가 설치돼 있다. 하지만 급속충전 속도 30분에 비하면 완속충전은 4~5시간 이상 걸려 갑갑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어 급속충전기 확대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양산시는 환경부 지원 급속충전기 인프라 구축사업에 따라 양산시청ㆍ웅상출장소ㆍ양산타워 등 7곳에 추가 설치하기로 했다. 또 한국전력공사 충전시설 설치 MOU 체결로 2곳 더 설치 예정이다.
무엇보다 공동주택 등 민간차원 충전기 설치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공동주택 내 충전기 설치 공모 신청을 받아 웅상신원아침도시, 대승하이아트2차 등 12곳 공동주택에 급속 12대, 완속 28대를 설치할 방침이다.
한편,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서형수 국회의원(민주당, 양산을)은 사통팔달 교통입지 조건을 갖춘 양산지역이 친환경차 거점도시로 거듭날 수 있기에 양산시가 전기차 민간보급 사업에 적극 나서줄 것을 주문하고 나섰다.
서형수 국회의원측은 “올해 환경부가 400억원 예산을 들여 전국 500여 곳에 충전기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라며 “결국 지자체 의지에 따라 지원금이 결정되는 사안으로, 양산시가 지원금을 대폭 상승시키는 등 전기차 보급사업에 노력을 보여준다면 양산지역에 보다 많은 충전기를 설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양산은 30만 인구에다 반경 100km 내 부산, 울산, 주요 경남권을 아우르는 입지조건을 가지고 있어 전기차 활성화를 위한 투자가치가 충분하다”며 “나아가 전기차 급속충전기 스테이션을 구축해 관광인프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