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가 여성 관련 시설을 한 데 모아 여성ㆍ가족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원스톱서비스’를 위해 여성회관 설립을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시청사를 짓겠다고 사둔 금촌마을 공공청사 부지를 유력 예정지로 내세워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양산시는 노후화된 여성복지센터를 대신할 ‘양산시 여성회관’(가칭)을 건립하기로 하고, 지난달 2천만원을 들여 기본계획과 타당성 용역에 들어갔다. 정확한 계획은 용역 결과가 나와야 하지만, 시가 구상 중인 여성회관 규모는 연 면적 6천㎡다.
이는 현재 여성복지센터(1천343㎡) 보다 4.5배 커진 것으로 500석 규모 다목적실과 상담실, 유아놀이방, 모유수유실 등을 계획했다. 무엇보다 여성복지센터 외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성가족상담소, 가족상담센터 등 지역에 흩어져 있는 여성과 가족 관련 시설을 입주시켜 ‘원스톱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위치다. 용역에 양산 전역을 대상으로 적정한 건립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포함돼 있지만, 사실상 양산시는 금촌마을 공공청사 부지를 유력 예정지로 지정해 놓은 상태다.
금촌마을 공공청사 부지는 지난 2011년 향후 인구 증가에 따른 행정수요를 감안해 시청사 부지 확보가 필요하다고 매입한 땅이다. 당시 양산시는 “인구 30만을 기준으로는 현재 청사 부지가 부족하다”며 “시청청사 확장을 대비해 부지 매입이 필요하다”고 양산시의회에 동의를 구했다.
ⓒ 양산시민신문 |
하지만 양산시는 부지 매입을 진행하면서도 정작 시청사 건립 계획은 수립하지 않고 대신 양산비즈니스센터 설립을 추진했다. 시의회가 절차상 문제를 제기하며 양산비즈니스센터 관련 안건을 부결시키자, 양산시는 양산비즈니스센터와 시청사 건물이 함께 들어서는 형태로 부지 활용계획을 바꿨다.
하지만 이후에도 하이브리드센터 건립을 추가로 추진하더니 이제는 이 부지에 여성회관까지 건립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이에 대해 한옥문 시의원(자유한국, 중앙ㆍ삼성)은 “시청사 건립 용도로 승인해 준 부지에 목적 외 건물이 계속 들어서는 것은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인데다 집행부가 의회절차를 무시하는 처사”라며 더욱이 “공공청사 부지에 대한 정확한 활용계획과 향후 시청사 이전 등 구체적 계획을 수립해 시의회에 보고하라고 했지만 감감무소식이더니, 결국 용역을 발주하며 기어코 여성회관 건립을 강행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접근성 문제도 제기됐다. 여성회관은 여성과 아이, 다문화가족 등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로 지역주민 사랑방 역할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고 접근성이 좋은 곳으로 부지 선정에 보다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양산시는 “절차상 문제가 있다는 시의회 지적은 맞지만, 사실상 여성회관도 양산시 직영 운영으로 공공청사 개념으로 이해해 줬으면 한다”며 “위치 역시 신도시 내 설립하면 좋겠지만 적정한 공공부지도 없고 예산규모도 비대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주차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청 등 공공청사가 밀집돼 있는 금촌마을 부지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