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최혜령 원동중 3학년 | ||
ⓒ 양산시민신문 |
알지 못했던 할머니, 할아버지 분들께도 인사하는 버릇이 생기고, 이제 와서 돌아보니 마을에 대한 정 뿐만이 아니라 마을 사람들에 대한 정도 그동안 생긴 것 같습니다. 그 덕분에 눈에 보이는 마을을 담고 싶어 사진 찍는 것에 재미를 붙이게 되었습니다.
요즈음에는 등굣길 가로수에서 사진 찍는 것을 취미로 두고 있습니다. 항상 그 길을 다니면서 계절마다 바뀌는 풍경들을 보게 되었는데, 그때마다 그 풍경들을 바라보는 것이 질리지가 않고 예뻐 보이기에 더욱 즐겁게 찍고 있는 중입니다. 다른 사람들은 계속 보다 보면 질릴 거라 생각 할 수도 있겠지만 매년 조금씩 바뀌는 풍경이 갈수록 예뻐 보여서 질리기는커녕 즐거워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작년에만 하여도 드문드문 피어있던 노란 코스모스 같은 ‘큰금계국’ 꽃들이 지금은 꽃길처럼 모여서 활짝 피어나 있는 모습이랄까요? 그리 많은 시간이 지난 것 같지 않았는데 그 사이에 저렇게 많이 피어난 모습을 보니 저도 ‘큰금계국’ 꽃들처럼 저렇게 꽃을 활짝 피울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였습니다.
봄에는 매화와 벚꽃이 차례로 피어나고 지는데 그때마다 이 조용한 마을이 시끌벅적 해지고 매화 축제가 시작됩니다. 제가 아는 가로수 풍경 중 가장 예쁜 풍경이 나오는 계절이지만, 아침마다 자동차가 많이 다니는 것을 보면 별로 기분이 좋진 않습니다. 풍경과 어울리지 않는 것 같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제가 제일 좋아하는 그곳은 밤에 더 빛나기 때문에 아침에는 그 풍경을 볼 생각을 하며 그 기분을 꾹 참습니다. 차로가 있는 가로수에 인도를 놓아두어 조금 더 인공적인 풍경이 되어버렸지만, 그래도 벚나무가 어우러진 그 가로수는 사진에서나 볼 수 있는 그런 화사한 풍경이라고 매 봄마다 그렇게 느낍니다. 또 밤에 차로를 둘러싼 벚꽃나무 터널이나 가로등 빛이 반사 되어 은은하게 보이는 벚꽃나무는 정말 예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말이죠, 이렇게 글을 적어놓는다면 제가 ‘봄을 가장 좋아할 것이라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 것 같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실 봄도 좋지만 저는 시원한 가을 풍경을 더 좋아합니다. 매년 좋아하는 계절이 바뀌는 변덕스런 마음이지만, 그래도 항상 1등은 ‘가을’이었습니다. 아마도 이곳에서 보았던 풍경과 인정 때문인 것 같습니다.
초등학교 4학년 즈음에는 시 쓰기에 재미가 들려 노트 한권을 다 채울 만큼 시 쓰기를 즐기기도 하였습니다. 지금은 어째선지 시가 잘 써지지 않지만, 그래도 역시 어느 시인이 시상을 얻기 좋은 곳으로 가고 싶다 하신다면 우리 마을을 추천하고 싶어집니다. 분명 제가 아끼고 좋아하는 그 풍경 속에서 제가 생각하지 못했었던 멋진 시상들을 얻어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있을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가을을 좋아하는 또 다른 이유 중 하나는 이웃 분들이 주시는 과일 때문입니다. 저희 가족은 이곳에 온지 13년이란 시간 동안 다른 이웃들을 만나 뵙고 친하게 지내 온 만큼 제철 과일이 나는 계절 마다 과일을 받곤 했습니다. 딸기며 수박, 사과 등등 맛있는 것을 엄청 받았었고 화채를 해서 먹거나 주스를 해먹으면서 여러 방법으로 그 과일들을 즐겼습니다.
가을은 그런 과일을 자주 얻는 계절입니다. 그렇기에 과일을 좋아하는 저에겐 봄보다도 상큼한 계절입니다. 이런 과일 선물이 많이 오가는걸 보며,(물론 아버지께서도 무언가를 이웃 분들께 드리면서 선물이 오가는 것이겠지만) 저는 그것들을 볼 때마다 이웃 분들께서 주시는 그 선물을 꼭 기억하고 ‘나도 선물을 드려야겠다’라고 생각했습니다. 저도 이웃에게 무언가 선물해 주고 싶은 그런 인정이 생겼나 봅니다.
봄꽃이 지고 후덥지근한 여름이 오고 있습니다. 전 항상 이맘때쯤 아토피 가려움에 시달려서 괴로워했습니다. 간지러움 때문에 피부를 긁고 상처가 생기고, 피부 때문에 수영도 가기 꺼려하였습니다. 제 자신이 보기에도 우툴두툴한 상처 때문에 징그럽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참으면 그만이겠지만 참기 어려워 항상 상처가 있었습니다. 그때마다 여름 바람이 시원하게 제 곁을 지나가면서 편안함을 느끼기도 하였습니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만약 ‘내가 이곳에 있지 않고 그대로 도시에 있었더라면?’이란 생각을 말입니다. 지금도 이렇게 힘든데 그대로 도시에 있었다면 제 아토피 때문에 부모님도 힘드셨을 것이고, 저도 간지러움에 몸부림을 쳤을 것 같습니다. 아토피가 너무 심해서 옷을 못 입었을지도 모릅니다.
‘나에게 행복하고 편안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어서 고마워!’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