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이혜옥 고려수지침학회 신양산지회장 | |
ⓒ 양산시민신문 |
약시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다만 사시거나 부동시 일 때 약시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사팔눈으로 불리는 약시가 오면 부모들은 지체없이 약시 검진을 받아야 한다. 사시로 눈이 돌아가면 돌아간 눈은 사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약시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또 양안 안경도수가 심하게 차이가 나는 부동시 일 경우에도 약시 가능성이 크다.
이 밖에 선천성 녹내장, 눈꺼풀이 쳐져 있는 안검하수, 안검종양 등도 약시를 일으키는 비율이 높다. 약시를 3~4세에 발견해야 하는 이유는 이때는 시력 발달이 완성되지 않은 시기이기 때문이다. 인간 시력은 6~7세에 완성된다. 이 시기를 놓치면 치료가 어렵다. 아이들이 엄마를 쳐다볼 때 눈을 잘 못 맞춘다거나 그림책을 너무 가까이 대고 본다거나 하면 안과 검사를 받도록 한다.
약시 치료는 조기에 발견할수록 치료효과가 높다. 치료는 원인을 제거하거나 교정 후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근시나 원시가 있으면 약시 안에 초점을 맞춰 안경을 착용해야 한다. 백내장이나 안검하수가 심한 경우 먼저 수술을 받은 후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약시의 가장 큰 원인인 사시의 경우는 수술예후를 고려해 가능하다면 약시치료 후 수술하는 것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수술 후에는 약시 치료를 해야 한다.
서금요법에서는 눈의 상응부인 E2와 간의 기모혈인 N18에 오복자극하고 기본방과 요혈에 황토서암뜸을 뜬 후에 유색 기마크봉 중형을 양손에 붙여주면 좋다. 그리고 간제법과 간승방을 취하고 비장을 보하는 수지음식인 토신왕을 하루에 2~3회 먹으면 더욱더 빠른 효과를 볼 수 있다.
예로부터 ‘몸이 천냥이면 눈은 구백냥’이라고 했다. 그 만큼 눈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말하는 것이다.
실제로 일생동안 얻게 되는 지식을 80%는 눈을 통해 이뤄진다. 눈은 외부에 있는 각막에서부터 뇌 속 시중추까지 하나의 연속된 흐름을 보여주고 있어 이 중 하나라도 이상이 생기면 시력을 잃게 된다. 어른의 경우 규칙적인 휴식은 물론 과로, 과음, 과식을 피해 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눈이 극심하게 피로시에는 잠시 눈을 감고 있는 것도 효과적이다. 시력은 일단 그 기능이 약화되면 원상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 |
ⓒ 양산시민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