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포항공대와 손잡은 영산대 “부산경남 최고 공과대학 기대”..
교육

포항공대와 손잡은 영산대 “부산경남 최고 공과대학 기대”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입력 2017/08/29 09:08 수정 2017.08.29 09:08
협정체결로 상호 교육지원 약속
포항공대 전ㆍ현직 교수 대거 참여
‘영산대 공대 발전 자문위’ 구성

영산대는 인문학 교육 강점 살려
포항공대 교육과정에 확대 전파

와이즈유(영산대학교) 공과대학 움직임이 부산하다. 올 상반기에 70여억원을 투입해 스마트공과대학 모든 건물에 리모델링을 완성하고 난 뒤, 한 발 더 나아가 부산경남지역 최고 수준 공과대학이라는 마스트플랜 아래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한 변신이 한창이다. 이러한 와이즈유 공대 움직임 뒤에는 우리나라 최고 연구중심 대학인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이 있다. 포스텍(총장 김도연)과 와이즈유(총장 부구욱)가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기로 하고 교육과 연구 분야에서 상호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로 했다.


지난 23일 와이즈유 부구욱 총장과 포스텍 김도연 총장은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했다. 교육과정과 방법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를 비롯해 ▶학생 교류와 상호학점 인정 ▶공동연구와 학술회의 공동개최 ▶교수교류 ▶시설물 상호이용 등 다양한 분야 교류협력을 도모하기로 했다.


우선 포스텍은 전ㆍ현직 교수 14명이 참여하는 ‘와이즈유 공대 발전 자문위원회’를 구성했다. 이는 포스텍이 개방적이고 도전적인 자세로 우리나라 대학사회 교육과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대표대학 역할을 실천하는 사례로서 그 의미가 크다. 특히 국내ㆍ외 공학 계열을 선도하는 포스텍과 교수 교류를 강화해 와이즈유 공과대학 성장과 발전 원동력으로 삼겠다는 와이즈유의 절실함도 묻어있다.


자문위원회의 구성 위원도 쟁쟁하다. 현재 대학구조개혁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백성기 전 포스텍 총장이 고문을 맡고 있으며, 위원장으로는 현재 한국대학랭킹포럼 대표와 포스텍 대학평가위원장을 맡고 있는 서의호 포스텍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참여한다. 이외에도 포스텍 정보통신연구소장인 서영주 교수, 정보통신대학원장인 홍원기 교수, 기계공학과장인 김동식 교수 등 기계, 전자, 컴퓨터공학, 생명공학, 화학공학분야 등에서 인정받고 있는 포스텍 전ㆍ현직 교수들이 대거 참여한다.


이후 자문위원회는 와이즈유 교육, 연구, 협력, 경영파트에서도 정책자문으로 도움을 준다. 또한 특성화 연구인력 확보와 육성, 지역발전형 국가 중대형 공동연구 과제 참여, 지역산업체와 연구과제 유치는 물론 기술개발 지원 등에도 자문을 통해 간접적으로 힘을 보탠다.


이에 따라 와이즈유는 동남권 전략산업과 지역산업 여건을 고려한 특성화 사업과 토론 또는 문제 중심 학과목 개발이나 학부연구원 제도와 연구학점 인정방안 등 교육ㆍ연구 발전방안을 적극 검토해 스마트 공과대학 위상 정립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와이즈유와 포스텍 간 긴밀한 협력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와이즈유의 강점인 인문교육을 포스텍 교육과정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논어를 교양필수로 지정하는 등 개교 이래 지속적으로 인문학 교육에 앞장 서 왔던 와이즈유는 인문교육으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와 같은 미래 시대에 대비할 능력을 기르기 위한 교육에 나선다.


즉, 와이즈유는 논어교육으로 포스텍 교육과정에 참여하는 한편 자문위원회 중심의 포스텍 교수진은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와이즈유에서 공학 관련 특강을 진행한다. 예컨대 참된 인성과 리더십 함양을 위한 ‘논어강독’, ‘21세기의 공학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인공지능 딥러닝과 로봇 자동차/로봇드론’, ‘자연으로부터 배우는 과학기술’ 등 다양한 특강이 양 대학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또한 양 대학은 학술행사도 공동으로 개최하기로 했다. 와이즈유는 인문학과 사회과학 분야에서, 포스텍은 이학과 공학분야에서 상호보완적인 교육지원을 나서게 됨에 따라 상호 유기적 연대를 통한 전문 인력 공동 활용 등으로 대학교육 내실화를 더욱 다질 것으로 보인다.


영산대는 “무엇보다 와이즈유는 포스텍의 풍부한 교육경험과 연구실적을 가진 전ㆍ현직 교수들의 공학관련 강의와 특강을 지원받음으로써 수준 높은 공학도들을 양성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든 것으로 보인다”며 “포스텍 원로교수들이 주축이 된 자문위원회의 도움을 받으며 공대수준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려는 와이즈유 스마트공과대학 전략적 움직임에 학계 관심이 높다. 기존 통념에 맞서는 도전이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와이즈유 스마트공과대학은 컴퓨터공학부(컴퓨터공학전공, 사이버보안전공), 자동차공학부(자동차공학전공, 기계설계전공), 스마트시티공학부(드론교통공학전공, 지능로봇공학전공, 건축공학전공), 전기전자공학과로 3개 학부 1개 학과로 구성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