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입구까지 상수도 배관을 매설해 언제든지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지만 여전히 마을상수도를 고집하는 주민들이 많다. 노후 간이상수도가 상당수 있는데다 가뭄과 홍수 등 자연재해 시 급수제한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어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양산시 상하수도사업소에 따르면 양산지역 지방상수도 급수배급율은 현재 96. 9%다. 현재 13만여세대 32만6천여명인 것을 감안할 때, 3천900여세대 9천600여명이 수돗물 공급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계곡수, 지하수 등을 원수로 간이상수도를 통해 음용수로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원동면 등 일부 산간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급수지역 내 있는 주민이다. 사실상 마을 입구까지 지방상수도 배관을 완비해 언제든 급수신청만 하면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는 셈이다. 원동면 역시 올해 122억원을 들여 총 63km 상수관로 매설사업을 진행해 2020년까지 완료하겠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지방상수관 매설이 곧바로 급수신청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수돗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수도관을 각 집으로 연결하는 옥내 급수관 설치를 진행해야 하는데, 상당수 마을 주민들이 개인급수전 설치비용이 부담스럽다는 이유로 설치를 꺼려하고 있다.
한 마을상수도 이용 주민은 “상수도시설원인자부담금에 공사비와 설계수수료 등 100여만원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자연마을 경우 홀몸 어르신이나 기초생활수급자 가정은 설치비를 감당할 수 없는데다, 수도요금 역시 간이상수도요금에 비해 높아 부담이 되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 양산시민신문 |
더욱이 웅상지역 경우 밀양댐이 아닌 낙동강물을 원수로 사용하는 수돗물에 대한 불신도 급수신청 저해 요인 가운데 하나다. 자체 저수조에 지하수를 받아 공급하고 있는 한 아파트 입주민은 “시원하고 깨끗한 지하수물이 낙동강 물을 정화한 수돗물보다 더 낫다는 인식이 크다”며 “아파트 입구까지 지방상수도 배관이 묻혀있는 것을 알고 있지만 입주민 대다수가 굳이 수돗물을 공급받을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수돗물 공급은 주민 건강, 위생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행정에서 더는 방관해서는 안된다는 지적이다. 양산시가 마을상수도에 대한 분기별 수질검사와 소독약 보급 사업을 진행하고는 있지만, 모든 마을상수도가 대상은 아니다. 웅상지역 경우도 등록된 마을상수도는 15곳이지만 현재 3곳만 수질검사 대상 마을로 관리하고 있다. 또 마을상수도 상당수가 설치한 지 50~60년이 지난 시설로 상당히 노후화돼 사실상 위생과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
먹는 물 기준에 적합한 마을상수도라 하더라도, 올해와 같이 가뭄이 심한 갈수기 때나 태풍 등 자연재해 시 급수제한이 빈번하게 발생해 생계 필수품인 식수 공급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실제 올해 계곡수 부족으로 저류지 물을 끌어다 생활용수로 사용하거나, 이마저도 부족해 식수병물을 공급한 지역도 있다.
이에 서진부 시의원(민주, 서창ㆍ소주)은 “마을에서 자비를 들여 개설한 마을상수도를 오랫동안 이용해 온 주민들에게 행정에서 급수신청을 강제할 수 없다”면서도 “하지만 위생과 안전 등 주민 건강과 직결되는 사업인 만큼 개인급수전 설치비용 분할납부, 기초생활수급자 면제 등 다양한 지원책을 통해 수도이용을 권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