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일단 한 번 만들어보자”… 우왕좌왕 좌충우돌 명동공원..
행정

“일단 한 번 만들어보자”… 우왕좌왕 좌충우돌 명동공원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입력 2017/09/05 15:11 수정 2017.09.08 15:11
명동공원 내 물놀이장 설치안
규모 등 서부양산 절반 수준
의회 “또 짝퉁사업 하냐” 지적

가뜩이나 만들다 만 반쪽 공원에
피크닉 가든, 연꽃단지 부수고
LED 장미정원, 물놀이장 등
즉흥사업 계획 쏟아내자 ‘질타’

명동공원 활성화 방안으로 추진하고 있는 물놀이장 설치사업이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당초 공원조성 종합계획과 상관없는 즉흥적인 사업을 쏟아 붓자 ‘명동공원이 일단 해보고 아니면 부셔버리는 실험공원이냐’는 볼멘소리까지 나왔다.


지난달 21일 열린 제151회 양산시의회 임시회 공유재산관리계획 심사 특별위원회에서 양산시가 명동공원 물놀이장 조성 사업을 심의 안건으로 제안했다. 명동공원 내 1천570㎡ 규모에 17억원을 들여 물놀이장 수유실 포함 관리동, 이동식 화장실, 막구조 파고라 등을 설치하겠다는 계획이다.















ⓒ 양산시민신문



이에 대해 명동공원 물놀이장이 또다시 짝퉁사업이 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차예경 시의원(민주, 비례)은 “시민들에게 여름철 건전한 여가생활 향유를 위해 동부양산 물놀이장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서부양산 디자인공원 물놀이장을 이용해 본 동부양산 주민들이 면적이나 수조규모가 딱 절반 수준인 동부양산 물놀이장을 보면 어떤 생각을 하겠나? 또 서부양산 짝퉁으로 만들었냐는 민원제기가 충분히 예상되지 않느냐”고 질타했다.


이에 양산시가 올해 우선 계획한 규모만큼 조성한 후 이용률이 높아 협소하다고 판단되면 인공연못을 모두 철거하고 그 자리에 물놀이장을 추가 설치하겠다고 답했다. 그러자 계획성 없는 즉흥행정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며 의원들 질타가 이어졌다.


서진부 시의원(민주, 서창ㆍ소주)은 “명동공원은 1ㆍ2ㆍ3단계로 단계별 조성계획이 있었지만 1단계 조성 후 4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나머지 구간에 대한 조성계획은 전무한 상황”이라며 “그런데 만들다 만 반쪽짜리 명동공원을 살리겠다며 LED장미정원, 물놀이장 조성 등 당초 공원조성 종합계획과 상관없는 즉흥 사업만 펼치더니 이제는 또 잘 만들어 놓은 인공연못까지 부수겠다고 하니 기가 찰 노릇”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명동공원은 1995년 공원으로 지정해 2004년부터 공사를 시작했지만, 2006년 현장에서 문화재가 발굴되면서 공원 조성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후 2011년 단계적 추진계획을 수립, 전체 면적 11만1천429㎡ 가운데 우선 1단계로 7만3천㎡ 부지에 공원을 조성하고 2013년 4월 개장했다. 그런데 어찌된 영문인지 1단계 조성에 그친 채 수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여전히 추가 조성계획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본지 688호, 2017년 8월 22일자>


더욱이 자갈마당에서 취사를 할 수 있어 명동공원 명물로 손꼽혔던 피크닉 가든을 시설훼손과 다수 민원을 이유로 조성 2년 만에 철거했다. 이후 취사 가능한 도심 속 공원이라는 장점이 없어지자 시민 발걸음이 뜸해졌고, 공원 활성화 방안으로 올해 LED 장미정원을 조성했다. 하지만 조성 한 달도 안돼 조명등 소실 등 관리부실 문제가 제기됐다. 그런데 이번에는 연꽃단지가 조성돼 있는 인공연못을 철거하고 물놀이장을 조성한다는 계획을 밝혀 ‘일단 만들어 보고 안되면 철거해버리는 즉흥행정’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는 것이다.


이상걸 시의원(민주, 양주ㆍ동면) 역시 “제대로 된 계획성 있는 사업을 하려고 했으면 중기지방재정계획을 세우고 투자심사를 거쳐 20억 이상 규모사업을 하면 되는데, 이 절차를 건너뛰기 위해 예산 규모를 줄여 17억원에 맞춰 사업을 하려다 보니 짝퉁 물놀이장이 나온 것 아니냐”며 “더욱이 명동공원 활성화를 위한 용역사업으로 올해 초 5천만원 예산을 편성해 놓고 고작 물놀이장 설치 계획만 나와 있는 2쪽 짜리 용역보고서를 제출했다. 제발 계획성 있는 제대로 된 통 큰 사업을 하자”고 말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