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교육청은 지난 14일 박종훈 교육감과 박규하 양산교육장을 비롯한 도교육청 국ㆍ과장과 양산시 관계자, 양산지역 학부모단체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양산지역 특성화고 설립을 위한 보고회’를 가졌다. 이날 특성화고 설립 타당성 조사 용역 최종결과를 통해 양산지역에 특성화고 필요성을 다시 확인했지만,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가 산적해 있다는 현실도 함께 드러났다.
무엇보다 부지 확보가 큰 걸림돌이다. 경남도교육청은 그동안 부산대 양산캠퍼스 부지를 유력한 예정부지로 놓고 부산대측과 지속적으로 협의한 결과 실무자 회의를 통해 ‘부지 맞교환’ 형태로 가닥을 잡았다. 하지만 부산대측에서 볼 때, 진주에 있는 경남과기대 땅을 얻는 대신 부산대 양산캠퍼스 부지를 일부 내놓아야 하는데 부동산 시세 등을 고려하면 단순 교환만으로는 손실이 컸다. 때문에 부산대측이 대학구성원을 설득하는데 실패했고, 결국 협의점을 찾지 못한 채 원점으로 돌아왔다.
경남도교육청은 “또 다른 대체부지로 재협의하자는 요청이 왔지만 교육청 입장에서 더는 대체할 수 있는 땅이 없어 사실상 재론 여지가 없는 상황”이라며 “이에 부산대 양산캠퍼스를 예정부지에서 완전히 배제하고, 제3의 부지를 찾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내년 3월 예정돼 있는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위원회 심사를 위해서는 부지 선정이 가장 시급한 과제다. 올해 설립 승인을 받는다 하더라도 예산 확보와 부지 상황에 따른 토목기초공사, 설계용역 등을 감안한다면 2022년 개교도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교육청은 “경남에서 특성화고가 없는 지역이 통영, 하동 그리고 양산지역으로 지역 형평성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설립해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최근 교육부 정책 역시 교육 다양성 등을 이유로 특성화고 추진을 격려하고 있어 적정한 부지만 선정한다면 중앙투자심사위 심사를 무난히 통과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편, 교육청은 대체부지로 물금읍 현 양산교육지원청 인근 학교용지와 상북면, 서창동 등 3곳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유력한 곳을 찾지 못하고 있어 제3의 부지를 선정할 가능성도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