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그게 먼데?
오피니언

그게 먼데?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입력 2017/09/26 10:16 수정 2017.09.26 10:16













 
↑↑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r
ⓒ 양산시민신문 
여성친화도시가 그랬다. 2011년 양산지역이 여성가족부로부터 경남 최초 여성친화도시로 선정되자, “도대체 그게 먼데?”라는 회의적인 반응이 나왔다. 일각에서는 “여성상위시대에 오히려 남성친화도시 만들어야지”라는 비아냥거리는 실소마저 곳곳에서 터져 나왔다. 

일정 정도 이해는 됐다. 여성친화도시 정의를 내려달라고 하니 ‘모두가 다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자’는 뜬구름 잡는 이야기를 했다. 그리고는 공무원들에게 정책을 추진하라는데 ‘어디서? 무슨 돈으로? 누구한테? 무엇보다 무슨 정책을?’ 눈에 보이는 토목사업도 아니고, 명확한 대상이 있는 복지사업도 아니었다. 그렇다고 별도 예산이 있는 것도 아닌데 무에서 유를 만들라고 하니 기가 찰 노릇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여성친화도시는 바로 그 의문에 대한 답을 찾는 사업이다. ‘여성’이라는 단어로 유추할 수 있는 ‘안전’, ‘가족’, ‘돌봄’, ‘평등’을 ‘도시개발’, ‘정책결정’에 접목시키자는 것인데, 사실 6년이 지난 지금도 명확히 정의 내리기 쉽지 않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지금 양산은 명실공이 여성친화도시라는 타이틀을 거머줬다는 것이다. 5년 동안 별별 사업에 ‘여성친화정책’을 붙이며 정말 열심히도 달려왔다.(모두가 공감하는 사업은 아니었을지언정) 그 결과 올해 경남 유일하게 여성친화도시로 재지정되면서, 시쳇말로 그 어려운 걸 우리가 또 해냈다. 


그런데 최근 “그게 먼데?”라는 사업이 또 등장했다. 바로 행복교육지구다. “사랑교육지구 하면 안돼?” 여성친화도시 취재 당시 상황을 오마주하는 듯 했다. “결국 공동육아하자는 거네?”, “행복학교가 있는 지역에만 예산 준다고?”, “교육사업을 왜 지자체가 해?”라며 저마나 행복교육지구에 대한 정의를 내리며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기 바빴다. 


사실 행복교육지구는 혁신교육지구라는 이름으로 이미 실험단계를 넘어 공교육 속 혁신 교육모델로 자리 잡았다. 서울형 혁신교육지구는 해마다 확대 운영하며, 그야말로 집값 상승 일등공신으로 귀한 대접받은 지 오래다. 그런데 양산에서 행복교육지구라는 사업이 처음 거론될 때 그리 환대받지 못한 이유는 뭘까? 


양산은 교육도시로 꽤 성장했다. 굳이 행복학교가 아니라도 지역사회와 학부모가 해당 지역 학교교육에 상당 부분 참여하고 있다. 장학금 지급과 봉사활동은 물론 학교 주요 사업 결정권자로 참여하는 학부모와 지역사회 오피니언 리더가 상당수다. 지자체는 또 어떤가? 양산시 자체재원 5% 이상을 교육예산으로 편성하고 있다는 자부심이 대단하다. 이렇게 학교 외 많은 사람들이 교육에 이미 참여하고 있는데, 뭘 또 하자는 것인가라는 의문 때문일 것이다. 


한마디로 행복교육지구는 모든 어른들이 교사가 되는 것이다. 장학금이나 급식 배급, 행사 축사 정도로 도움을 주는 것이 아니라 인생교사로써 아이들을 직접 교육하자는 것이다. 엄마 아빠는 물론 이웃집 삼촌 이모, 상급학교 형 누나, 수퍼마켓 주인 아저씨 아줌마, 공원에서 만나는 할아버지 할머니 모두가 우리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사가 되는 셈이다. 



수업 과목도 자유다. 무엇을, 어떻게, 어디서 가르칠 지도 알아서 결정하면 된다. 마을 청소하기, 텃밭 가꾸기, 슈퍼마켓에서 물건사기, 어른에게 인사하기 등 모든 것이 수업과목이 될 수 있다. 거기다 개인 재능을 살려 미술, 음악, 독서, 과학 등을 가르치면 금상첨화다. 


지난 주 양산시와 양산교육지원청이 행복교육지구 신청서를 제출하면서 사실상 첫 발을 내디뎠다. 교문도 교실도 운동장도 없어 아직은 많이 낯선 학교지만, 이왕 개교하는 거 제대로 출발해 보자. 우리시가 또 행복교육도시라는 타이틀을 하나 더 딸 수 있는 기회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