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양산출신 ‘만석꾼 의병’ 김병희ㆍ김교상 부자 서훈 신청 ..
사람

양산출신 ‘만석꾼 의병’ 김병희ㆍ김교상 부자 서훈 신청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입력 2017/10/17 10:01 수정 2017.10.17 10:01
군용자금 지원ㆍ의병 규합 등
구체적 항일행적 기록 문건 발굴
경남독립운동연구소 7년 간 사료수집
“늦었지만 의로운 행적 빛 보길”















↑↑ 경남독립운동연구소가 양산출신 ‘만석꾼 의병지도자’ 김병희(1851~1908, 사진 왼쪽)ㆍ김교상(1872~1908, 사진 오른쪽) 부자 항일행적이 담긴 문건을 발굴, 국가보훈처에 서훈을 신청했다.
ⓒ 양산시민신문


경남독립운동연구소가 양산출신 ‘만석꾼 의병지도자’ 김병희(1851~1908)ㆍ김교상(1872~1908) 부자 항일행적이 담긴 문건을 발굴, 국가보훈처에 서훈을 신청했다.


경남독립운동연구소에 따르면 김병희 부자가 을사늑약(1905년) 이후 영남 동부지역 의병장 서병희에게 군자금 약 50억원(당시 5천엔)을 지원한 사실을 밝혀냈다. 또 영남지역에서 의병 200여명을 규합해 미제 군총과 권총, 대구경총 등 최신 화기로 무장하고 양산ㆍ밀양ㆍ울산ㆍ부산ㆍ경주ㆍ청도 일대에서 일제와 맞서 싸운 사실도 확인했다.


경남독립운동연구소는 묘비 비문과 경주 김씨 족보, 1908년 일본군 보병이 작성한 ‘진중일지’ 등 문헌에서 김병희 의병장의 구체적 행적도 확인했다.


김병희ㆍ김교상 부자는 일본군에 체포돼 1908년 6월 통도사 인근에서 각각 57세와 36세에 총살됐다. 공식문건에서 사망 확인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리고 군자금은 당시 전국 최다 금액이라 할 수 있다. 정재상 경남독립운동연구소장은 “그동안 김병희ㆍ김교상 부자에 관한 기록은 국가기록원이 소장한 <폭도에 관한 편책>과 허정(1896~1988, 샘터)의 <내일을 위한 증언>, 양산지역 향토지 등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나, 사료가 충분치 못해 정부 서훈을 추진할 수 없었다”며 “그렇지만 김병희 의병장 후손 김중경 오경농장 회장과, 엄원대 가락 양산역사문화연구소 연구실장, 이형분 수석연구원, 김규봉 양산향토사연구가, 최영자 경남독립운동연구소 연구실장이 7년간에 걸친 사료수집 노력으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밝혔다.


후손 김중경(84, 상북면) 씨는 “선대 할아버지가 일제와 맞서 싸우다 순국했다는 이야기는 집안 어른들을 통해 알고 있었으나 뚜렷한 행적을 찾지 못해 안타까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두 할아버지 의로운 행적이 국가로부터 인정받아 빛을 봤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