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환경문제로 이전한 어곡초, 남은 부지 활용법 공론화 필요..
교육

환경문제로 이전한 어곡초, 남은 부지 활용법 공론화 필요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입력 2017/11/14 09:08 수정 2017.11.14 09:08
어곡초 지난달 31일 이전 개교
남은 부지 활용방안 아직 없어
“공장ㆍ오염시설 설립 피해야”
공익목적 활용 목소리 높지만
면적, 용도 등 매각 쉽지 않아
자칫 지역 우범지대 전락 우려

양산지역 교육계가 어곡초등학교 이전으로 남겨진 부지 활용방안에 대한 고민을 시작했다. 교육계는 환경문제로 학교가 이전한 전국 최초 사례인 만큼 이곳이 또 다른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공간이 아닌 주민편익시설 등 공익목적으로 활용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어곡초등학교는 2011년 8월 교육부에 이설을 승인받았다. 학교 주변 공장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공해로 인해 학습권 침해가 발생하고 있다는 이유다. 당시 환경문제로 학교 이설을 결정한 것은 전국 최초였다.



하지만 예산 조달에 어려움을 겪어오다 이설 승인 4년이 지난 2015년 9월에야 공사를 시작해 기존 학교부지에서 1km가량 떨어진 어곡동 산 34번지 1만6천414㎡ 부지에 20개 학급 규모로 지난달 31일 이전 개교했다.


이후 남아 있는 옛 어곡초 9천264㎡ 규모 부지 활용방안이 지역주민과 학부모 관심사로 떠올랐다. 천신만고 끝에 이전을 결정했기 때문에 기존 학교부지가 또 다른 환경문제를 일으키는 공간으로 활용돼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이전 논의 당시 예산 문제가 학교 이전 발목을 잡고 있었기 때문에 학교부지 매각 협의는 중요한 쟁점이었다. 이 과정에서 한 업체가 매각 의사를 밝히고 2012년 12월 매입의향서를 교육청에 제출하면서 학교부지 매각 문제는 일단락됐다. 여기에 국비 131억여원을 어렵게 확보하면서 사업 추진이 가시화된 것이다.














ⓒ 양산시민신문


하지만 교육청은 매입의향서와는 상관없이 어곡초 이전에 따른 폐지학교 관리 계획에 따라 매뉴얼대로 처리하겠다는 입장이다. 자제활용, 보존, 매각, 대부를 놓고 지역주민들과 함께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해 보겠다고 밝혔다.


양산교육지원청은 “원칙은 공개입찰을 통한 매각이지만, 환경오염 문제로 이전한 만큼 오염유발원과 관계없는 지역발전과 연계한 공익적 목적으로 활용할 매수의향자에게 최우선 매각한다는 방침”이라며 “올해 안에 지역주민공청회와 교육관계자 등 의견수렴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재 어곡초 부지는 자연녹지지역으로 녹지공간 보전을 위해 불가피한 개발만 허가하고 있어, 공장 설립이 상당히 제한적이며 건폐율(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 비율) 또한 20%에 불과해 무분별한 개발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다시 말해 9천㎡가 넘은 넓은 면적이지만 그만큼 활용범위가 좁아 민간 매각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를 위해 교육청은 양산시 모든 부서에 공문을 통해 어곡초 활용방안과 매수 의사 여부를 묻기도 했다. 하지만 양산시는 현재까지 어곡초 부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때문에 활용계획 수립부터 공유재산심의, 입찰, 매각까지 2~3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돼, 주민들 사이에서는 자칫 그동안 폐교로 남아 있는 어곡초가 어곡지역 슬럼화를 유발하지 않을까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어곡초 학부모는 “공공시설로 활용하지 못하고 공장을 가동하는 업체가 부지를 매입하더라도 이 공간은 사원을 위한 복지시설이나 숙소 등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시설로 활용했으면 하는 바람”이라며 “하지만 더 시급한 것은 오랜 기간 폐교로 남아 지역 우범지대가 되지 않도록 빠른 시일 내에 활용방안을 찾는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