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고교평준화추진위원회가 지난 25일 기자회견을 통해 공개한 ‘고교 평준화 설문조사’ 결과, 78%가 양산지역에 고교평준화를 도입하는 것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는 지난해 12월 10일부터 지난 5일까지 한 달간 학생, 학부모 등 모두 2천286명을 대상으로 했다.
![]() |
ⓒ 양산시민신문 |
먼저 학생 설문은 중학교 4곳, 초등학교 6곳 1천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이들 가운데 74.13% 찬성, 23.66%가 반대했다. ‘평준화에 대해 알고 있냐’는 질문에는 83%가 ‘알고 있다’고 답했고, ‘비평준화로 인한 교육적 문제가 있느냐’는 물음에는 70.06%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학부모 역시 초ㆍ중ㆍ고교 18곳과 세 차례 거리선전전, 설명회 등에서 7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했고 83.46%가 찬성했다.
양산시고교평준화추진위는 “학교와 거리에서 만나는 고교평준화 의지는 숫자가 보여주듯 뜨거웠다”며 “고교평준화는 평등교육의 시작이며, 양산지역 학생과 학부모들은 고교 평준화의 조속한 실현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양산지역 고교평준화 논의는 수년 전부터 꾸준히 제기해 왔다. 2006년 김해지역 도입 이후 양산 역시 평준화를 준비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여론이 있었다. 하지만 당시 ‘학력 우수학생 역외유출’이 양산교육계 현안으로 떠올랐고, 명문고 육성을 대안으로 제시하면서 사실상 고교평준화 도입 문제는 물 밑으로 가라앉게 됐다.
![]() |
ⓒ 양산시민신문 |
그러다 최근 대입제도가 수능에서 학생부 중심으로 크게 선회하고 학력 우수학생 전략적 소신 지원이 늘어나 사실상 양산지역 고교 서열 구도가 옅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고교평준화 도입으로 과열된 고교 진학경쟁에서 탈피해 중학교부터 학생 자기계발과 창의력 교육에 매진한다면 잠재력과 가능성을 보는 최근 대입전형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었다.
동시에 거제지역이 경남에서 5번째로 고교평준화를 준비해 오는 2019년 도입을 앞두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오면서 양산교육계가 반응하기 시작했다. 더욱이 경남도의회 <고등학교 입학전형 설치지역 지정 및 해제에 관한 조례안> 제정으로 법적ㆍ행정적 지원 근거를 마련하면서 고교평준화 도입을 다시 공론화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에 양산지역 고교평준화를 희망하는 학부모단체 8곳, 교원단체 2곳, 시민사회단체 3곳 등에서 추진위원 102명으로 지난해 11월 양산시고교평준화추진위를 꾸렸다. 이들은 2개월여 동안 학부모와 학생 대상 설명회, 간담회, 설문조사 등 고교평준화 당위성을 홍보하고 다양한 의견 수렴 절차를 밟았다.
추진위는 이날 공개한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경남도교육청에 평준화 추진을 공식 요구할 예정이다. 이후 경남도교육청 절차에 따라 고교평준화 사업 타당성 검토를 위한 용역 연구에 들어간다. 긍정적 결과가 나오면 공청회와 토론회를 거쳐 여론조사를 진행하게 된다. 여론조사에서 60% 이상 찬성을 얻게 되면 경남도의회 학군 조정 조례 개정을 거쳐 2020년부터 평준화를 시행한다.
한편, 고교평준화는 내신과 자체 시험 등으로 학교가 학생을 선발하는 고교 선발제가 아닌 컴퓨터 추첨을 통해 공정하게 학교를 배정한다. 학생이 희망하는 학교에 선지원하고 성적과 상관없이 일명 ‘뺑뺑이’, 무작위 추첨으로 이뤄진다. 쉽게 말해 무작위 추첨으로 학생들을 해당 지역에 있는 모든 일반계 고교에 고르게 배정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경남지역은 희망학교 선지원이 특정 학교 쏠림현상으로 나타나 평준화 취지가 퇴색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2016년 평준화 고교 배정 방법을 손질했다. 새로운 배정 방법은 ‘선 지원 후 추첨’ 기조를 유지하되, 남ㆍ여별로 9개 석차등급을 적용하는 등급제 방식이다. 기존 방식과 같은 점은 학생 희망을 반영한다는 것이고, 다른 점은 등급별로 배정해 학력 우수학생 쏠림 현상을 막겠다는 취지다.
현재 경남지역에서 고교평준화를 시행하고 있는 곳은 창원, 마산, 진주, 김해 등 4곳이다. 1979년 마산에서 가장 먼저 도입했고, 이듬해 창원 또 그 이듬해 진주가, 2006년 김해 경우 서부지역(장유ㆍ진영)을 제외하고 동부지역 고교 12곳에서 고교 평준화를 시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