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양산시민신문 |
이에 따라 국ㆍ도비 5천500만원 포함한 8천500만원 예산을 투자해 대운산자연휴양림의 위험지역 조사와 분석을 통한 재해별 대책을 마련해 인명과 재산 피해를 예방해 나갈 계획이다.
자연휴양림은 산림 내 큰 면적으로 조성했을 뿐 아니라,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 발생 시기와 산불 발생 시기에 이용자가 집중돼 재해 발생 때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또한 입지적 특성으로 인해 재해 발생 때 초동대처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2018년 국가안전대진단과 연계 추진해 산불, 산사태, 토석류, 낙석, 지반침하, 침수 등에 의한 인명과 재산피해 등 자연재해를 예방한다는 목적이다. 또 인공사면ㆍ절토사면 붕괴, 건축물ㆍ목구조물ㆍ교량 등 시설물 노후와 불량 등으로 인해 기능이 떨어져 인명이나 재산 피해를 야기할 수 있는 인공재해 전반에 대해서도 ‘산림휴양시설 복합재해 대응시스템’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김종렬 산림과장은 “이번 용역 시행으로 복합재해 대응시스템을 구축해 각종 재해로부터 이용객의 인명과 재산을 보호함으로써 시민에게 더욱 안전한 산림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무엇보다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재난대비 체계의 선도적 모델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