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재활용품 수입금지 조치로 최근 수도권이 재활용 쓰레기 대란을 겪고 있다. 양산지역은 현재 재활용품처리는 원활한 상황이지만 대란이 장기화한다면 마냥 안심할 수는 없다는 지적이다.
양산시에 따르면 민간 재활용품 처리 업체가 고물 가치가 떨어지는 비닐ㆍ스티로폼 등 소위 ‘기피 품목’을 수거하지 않으려고 아파트와 갈등을 빚고 있는 수도권과는 달리, 양산지역에서는 수거 거부 사태가 일어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재활용품 가격하락에 분리 배출한 재활용품마저 절반이 쓰레기인 상황에서 재활용품 수거 거부 사태가 언제 발생할지 몰라 시민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양산시는 단독주택이나 상가, 소규모 아파트 등은 쓰레기 전체를 처리하지만 아파트 단지는 일반 쓰레기만 처리하고 있다. 현행법상 쓰레기 처리는 기초자치단체장이 해야 하지만, 아파트 단지들은 자체 이익을 얻기 위해 수십년간 관행적으로 재활용품 처리를 민간업체에 맡기고 있다.
통상 200~300세대 이상 아파트는 입찰 공고로 민간 재활용 수집ㆍ운반 업체와 계약을 맺고 재활용품을 처리하고 고물 판매 수익금 일부를 받는다.
ⓒ 양산시민신문 |
문제는 폐비닐이나 스티로폼의 경우 경제성이 떨어져 수익이 없는데, 최근 중국의 폐플라스틱 수입 중단으로 재활용 페트병 가격마저 대폭 하락해 재활용품 민간업체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또 쓰레기가 버젓이 재활용품으로 배출돼 재활용 선별 작업비에 별도 폐기물처리비용까지 이중 부담으로, 사실상 아파트 단지에 돈을 주면서까지 재활용품 처리를 하는 건 어렵다는 게 민간업체들 입장이다.
이에 인구 77%가 아파트(180곳)에 살고 있는 양산지역 역시 마냥 안심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실제 상북지역 한 아파트 경우 민간업체가 비닐ㆍ스티로폼 등 기피 품목을 수거하지 않겠다는 통보를 해와 양산시가 급히 중재에 나서기도 했다.
양산시 자원순환과는 “민간업체 한 곳이 수거를 거부하면 전체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아파트와 업체 간 원활히 조율할 수 있도록 중재한 상황”이라며 “대단지 아파트가 많은 양산지역은 재활용품 수익성이 좋아 여전히 민간업체 간 경쟁이 치열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주변 정세가 바뀌고 있어 양산시 역시도 대비책 마련을 위해 고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양산시는 1일 처리용량 24톤 규모 재활용선별장 추가 설치, RFID 기반 음식물 쓰레기 세대별 종량제 사업, 폐기물 감량기기 설치보조금 지원사업, 공동주택 생활쓰레기 감량 경진대회 등 생활쓰레기 줄이기를 위한 각종 사업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시민의 인식 전환과 함께 생활 속 작은 실천이 쓰레기 대란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양산시는 “재활용품 수거 거부 사태를 미리 막기 위해서는 비닐과 플라스틱은 음식물이나 이물질을 반드시 씻어낸 뒤 배출해야 하고, 이미 더럽혀진 것은 분리수거가 아니라 종량제봉투에 담아 버려야 한다”며 재활용 분리수거가 가정에서부터 수칙에 따라 잘 이뤄질 수 있도록 시민 참여와 협조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