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산시민신문 |
교육부가 지난 11일 국가교육회의로 넘기기 전 2022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을 공개했다. 핵심은 ‘선발 시기’로, 수시ㆍ정시를 통합하고 수능 이후에 전형을 시작하는 안을 제1안으로 제시했다. 이대로라면 수능을 지금보다 약 2주 앞당긴 11월 1일께 치르고, 11월 20일께 성적을 발표하면 11월 말부터 대학이 원서를 접수하고 전형을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수능 성적을 모른 채 대입 지원을 하는 단점이 없어진다. 수시모집에 합격한 학생이 수능에서 좋은 점수를 받아도 정시에 지원할 수 있는 이른바 ‘수시 납치’가 없어지는 셈이다. 또 9월 수시모집 시작과 함께 3학년 2학기 교실 수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수업 파행’도 막을 수 있다.
다만 학생 응시 횟수가 줄고 촉박한 추가모집으로 인한 대학 미충원 문제 등 해결해야 하는 숙제도 있지만, 교육계에서는 대체로 필요한 개편이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 외에도 수능중심전형 적정 비율 정도, 수능 전 과목 절대평가 도입 여부 등 교육현장에서 논란이 끊이지 않는 쟁점들이 개편안에 모두 올랐다. 결국 오는 8월 국가교육회의 확정안 발표 때까지 또다시 폭풍전야 속에서 기다려야 한다.
이처럼 너무 자주 바뀌는 대입정책 탓에 학생과 학부모가 멀미를 호소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실제 현재 고3ㆍ고2ㆍ고1ㆍ중3까지 적용되는 대입정책이 학년마다 제각각이다.
현재 고3은 지금까지의 ‘수시 확대ㆍ정시 축소’ 기조에 따라 2019학년도 입시를 치른다. 고2는 얼마 전 교육부 ‘정시 확대ㆍ수시 축소’ 방침으로 상위권 대학 정시 선발 인원이 확대될 전망이다. 수시 최저등급 폐지 움직임도 있다. 고1은 2015교육과정 도입으로 교과서가 달라져 수능 범위가 자체가 바뀐다. 게다가 정부 ‘정시 확대’ 방침이 2021년 입시에도 이어질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중3은 그야말로 혁명에 가까운 대입제도 개편을 떠안아야 한다. 수능절대평가 범위가 전 과목으로 확대될 수 있다. 또 수능을 선택형 수능과 서술형 수능으로 나누자는 의견도 있다. 교육부가 수능, 학생부, 내신, 논술 등 입시에 반영되는 모든 요소가 바뀌는 대대적인 개편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입 안정성을 위해 시작한 대입정책 개편이지만, 해마다 바뀌면서 예측 불가능한 롤러코스터 대입정책으로 학생 혼란을 더 가중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양산지역 한 고교 교사는 “학년마다 다른 대입정책에 학생과 학부모는 물론 일선 교사도 심리적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과거 선발방식으로 인재를 키우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대입정책을 바꾸는 것은 이해하지만, 해마다 새로운 선발방식을 적용하는 것은 가혹한 행위”라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