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도시는 생물이다”… 4년 만에 급변한 도시 성격을 분석하..
기획/특집

“도시는 생물이다”… 4년 만에 급변한 도시 성격을 분석하라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입력 2018/04/24 09:49 수정 2018.04.24 09:49
[6.13지방선거 지역별 주요 쟁점]

양주동, 양산지역 최초 계획도시
최근 신도시 2ㆍ3단계 급부상하면서
택지 상권 하락, 학교 공동화 현상도

문화 콘텐츠 접목해 상권 활성화
유휴교실 이용한 학교 활용방안 모색

동면, 5~6년 전 인구 1만여명에 불과
지금은 인구 90%가 신도시에 밀집

교육시설 등 공공기반시설 확충 필요
자연마을과의 균형 발전 위해 고민해야

선거란 지역을 대표하는 ‘일꾼’을 뽑는 작업이다. 그래서 일꾼은 자신이 대표할 마을에 어떤 크고 작은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지 잘 알아야 한다. 도로를 개설하고 다리를 놓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역 성장을 위해 고민해야 할 사안과 현재 주민들이 실제 겪고 있는 불편ㆍ부당한 부분들은 어떤 게 있는지 살펴야 한다. 이는 후보자들에겐 의무이며, 유권자들에겐 권리다. 이에 본지는 시의원 선거구를 중심으로 지역별로 관심 있게 지켜봐야 할 사안과 시급히 해결해야 할 대표 문제들을 짚어본다.



<글 싣는 순서>



① 가선거구(상북ㆍ하북ㆍ강서)
② 나선거구(중앙ㆍ삼성)
③ 다선거구(물금ㆍ원동)
④ 라선거구(양주ㆍ동면)
⑤ 마선거구(서창ㆍ소주)
⑥ 바선거구(덕계ㆍ평산)



--------------------------------------------------------



양주동은 양산 최초 계획도시다. 양산지역 신도시 1호로, 거주에 필요한 기본 시설이 잘 갖춰진 비교적 살기 좋은 곳이라는 평가를 받아 왔다. 하지만 최근 신도시 2ㆍ3호가 급부상하면서 신도시 가운데 구도시로 인식돼, 택지 상권이 쇠락하고 학교 공동화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반면, 동면은 뜨고 있는 신도시다. 하지만 지도상에 함께 나타내기조차 어려운 Z자 형태의 넓게 퍼진 지형구조로, 석ㆍ금산 신도시에 인구 의존도가 상당히 높다. 자연스레 자연마을은 인구가 없어, 신도시는 인구가 넘쳐 문제다. 도시 균형 발전은 물론 과밀도시 기반 시설 확충 문제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양주동, 택지상권ㆍ교육환경 등 신흥신도시에 밀려

양주동은 신도시 1단계로 불린다. 1994년 택지개발 예정지구 지정 후 2003년 준공까지 신도시 1단계 조성에 10년이 걸렸다. 2010년 4월 분동돼 양주동이라는 이름표를 단 후 2번의 지방선거가 있었지만, 주민들은 새로운 시설에 대한 요구보다는 기존 시설 활용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더 컸다.


하지만 다시 4년이 지난 지금 상황은 조금 달라졌다. 증산신도시, 범어신도시, 석ㆍ금산신도시 등 신흥신도시가 떠오르면서 첫 신도시 아성이 점점 무너지고 있는 형국이다.

















↑↑ 양산지역 최고 먹거리촌이었던 양주택지지구가 신도시 2, 3단계가 조성되면서 황금상권 타이틀을 뺏기고, 점차 상권이 쇠락하고 있다.
ⓒ 양산시민신문



한때 양산지역 최고 먹거리촌이었던 양주택지지구는 범어택지지구가 조성되면서 황금상권 타이틀을 고스란히 빼앗겼다. 미로처럼 얽혀있는 택지지구 내 도로 문제와 주차 부족 문제 등이 상권 쇠락을 부추겼다. 다행히 이마트를 둘러싼 상업지구는 여전히 성행하고 있다. 지금의 명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젊음의 거리 조성 등 문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문화 콘텐츠를 보다 활성화해 상권에 접목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젊은 층 주거지로 각광받았던 터라 초등학교 역시 현재 물금신도시 못지않은 과밀 현상이 나타났다. 중부초는 한때 2천명에 육박하는 학생으로 과밀 몸살을 앓았지만, 현재는 학생 수 800여명에 불과하다. 때문에 잇따라 신설된 초등학교는 과밀 학급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60학급 이상 대규모로 지었지만, 학생 수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이에 학교 공동화 현상 방지를 위해 큰 그림에서 효율적인 학교 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 명과 암을 동시에 안고 있는 양산도시철도와 2호선 연장선.
ⓒ 양산시민신문



이런 상황에 호재로 여겼던 도시철도마저 명과 암을 동시에 안고 있다. 오랜 숙원이었던 부산 노포~양산 북정을 잇는 도시철도 양산선이 올해 첫 삽을 뜨게 됐다. 하지만 부산도시철도 2호선 연장 노선이 서이동 주택가 바로 옆을 스쳐 지나도록 설계돼, 일상생활을 할 수 없을 정도의 심각한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골든타임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본격적인 공사 전에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정치권도 머리를 맞대야 한다.

동면, 인구 증가 속도 따라가지 못하는 기반시설

지금은 ‘동면’하면 신도시부터 떠올리지만, 불과 5~6년 전에는 인구 1만여명 규모의 진짜 ‘면’지역에 불과했다.


2013년 석ㆍ금산지구에 3천여세대 대단지 아파트 입주가 시작되면서, 인구 증가에 가속도가 붙어 현재 3만4천명에 육박하고 있다. 사실상 동면 인구의 80~90%가 신도시에 밀집해 있는 셈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대단위 택지개발지구의 가장 기본적인 기반시설인 학교가 동면지역 문제로 대두됐다. 석산초등학교 과밀에 중ㆍ고교 부재까지 학부모 원성이 높은 곳이다. 다행히 지난해 초ㆍ중 통학학교 신설이 교육부 승인을 받아 진행하고 있지만, 앞선 모델이 없는 교육시설 형태로 학부모들은 기대 반 걱정 반으로 기다리고 있다.

















↑↑ 과밀학급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는 석산초.
ⓒ 양산시민신문



이 밖에도 인구 밀집도가 낮은 자연마을에 위치해 있는 동면보건지소, 동면파출소 등 공공시설을 신도시로 이전ㆍ확충해 달라는 요구도 많다.


동면 숙원이자 현안이었던 사송신도시는 일단 첫 단추를 끼웠다. 올해 초 성대한 기공식을 시작으로 동면 내송ㆍ외송ㆍ사송리 일원 276만6천500여㎡ 개발이 본격화됐다. 2007년 개발계획 승인을 받았지만 경기 침체, LH 자금난 등으로 사업 추진이 불투명했던 사업으로 일대 슬럼화가 심각했다. 동면은 물론 양산지역 전체 인구 증가에 기폭제 역할을 할 대단위 개발사업인 만큼, 가속도가 붙을 수 있도록 격려와 감시가 동시에 필요한 사업이다.

















↑↑ 격려와 감시가 필요한 동면 사송신도시 사업.
ⓒ 양산시민신문



반면 도시개발 그늘 속에 묻혀 자칫 방치될 수 있는 자연마을도 반드시 챙겨야 한다. 동면은 금정산 자락을 경계로 자연마을이 주를 이루는 내ㆍ사송리가 있고 양산과 부산 경계지점인 호포 끝자락까지 포함한다. 상수도와 도시가스가 들어오지 않는 자연마을도 있는 만큼, 도시 균형 발전을 위한 최소한의 생활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