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양산 재활용품 쓰레기 대란 초읽기… 이번 주 최대 고비..
사회

양산 재활용품 쓰레기 대란 초읽기… 이번 주 최대 고비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입력 2018/05/08 09:00 수정 2018.05.08 09:00
양산 수십곳 아파트 수거 거부
길어야 3~4일 후면 쓰레기 포화
중국발 플라스틱 수입 중단으로
폐플라스틱 가격 대폭 하락해
수거업체 “하루에 150만원 적자”
양산시 아파트ㆍ업체 간 중재
현실적 보상 요구에 타협 난항

양산에서도 ‘재활용품 쓰레기 대란’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지난달 30일부터 일부 아파트에서 재활용품 수거 거부 사태가 빚어져 행정기관이 중재에 들어간 상황으로, 이번 주가 최대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30일부터 양산지역 아파트 수십 곳에서 플라스틱, 비닐, 스티로폼 등 재활용품이 수거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해당 아파트는 재활용품이 쌓여 보관할 공간이 없는 데다, 미관을 해치고 악취까지 풍겨 입주민 불편이 야기되고 있다.


재활용품 수거 거부 사태가 발생한 한 아파트 관리소장은 “지난해 12월 재계약한 수거업체가 계약과 달리 50% 가격 인하를 요구하더니, 급기야 지난달 30일부터 재활용품 수거를 거부하고 있다”며 “재활용품장 주변 공간까지 활용해 적재해 뒀지만 버텨봐야 3~4일 정도로, 수거업체와 협의가 안 된다면 수의계약을 통해 업체를 재선정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양산시는 단독주택이나 상가, 소규모 아파트 등은 쓰레기 전체를 처리하지만 아파트 단지는 일반 쓰레기만 처리하고 있다. 현행법상 쓰레기 처리는 기초자치단체장이 해야 하지만, 아파트 단지들은 자체 이익을 얻기 위해 수십 년간 관행적으로 재활용품 처리를 민간업체에 맡기고 있다.
















↑↑ 재활용품 수거 거부로 지역 한 아파트에서는 재활용품 보관 공간이 부족해 단지 내 도로 일부에 재활용품을 쌓아두고 있다.
ⓒ 양산시민신문


통상 200~300세대 이상 아파트는 입찰 공고로 민간 재활용 수집ㆍ운반 업체와 계약을 맺어 재활용품을 처리하고, 고물 판매 수익금으로 세대 당 평균 1천원을 받고 있다.


문제는 아파트 입찰에 참여하는 주계약업체는 폐지를 수거하고 나머지 플라스틱, 비닐, 스티로폼, 캔, 병류는 품목별로 또다시 하도급 계약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양산은 폐지 외 나머지 품목을 수거하는 하도급업체가 재활용품 수거를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다.


폐플라스틱 등을 처리하는 한 하도급업체는 “가뜩이나 폐비닐이나 스티로폼의 경우 경제성이 떨어져 수익이 없는데, 최근 중국의 폐플라스틱 수입 중단으로 재활용 페트병 가격이 1kg당 800원에서 250원으로 대폭 하락했다”며 “반면 (최저임금 상승으로) 재활용 선별 작업을 위한 인건비와 별도 폐기물 처리비용은 대폭 상승해, 하루 일하면 평균 150만원 정도 적자를 보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양산시가 급히 중재에 나섰다. 지난주 피해를 보고 있는 아파트 관리소장, 입주자 대표와 먼저 대책회의를 진행한 데 이어 주계약업체와 하도급업체 등 수거업체와도 별도 간담회를 했다. 하지만 하도급업체측은 손실 발생에 따른 세대 당 수익자 부담과 주계약업체와의 분리 입찰 등 현실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어 타협에 난항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양산시는 8일 아파트, 수거업체 등 관계자가 모두 참석한 가운데 대책 회의를 하기로 해, 이번 주가 쓰레기 대란 확산 여부를 결정짓는 최대 고비가 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