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다산신도시 택배 문제와 ‘한 평 카페’ 그리고 ‘양산시 ..
오피니언

다산신도시 택배 문제와 ‘한 평 카페’ 그리고 ‘양산시 아파트 공동체 활성화 조례’에 대한 생각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18/05/08 09:32 수정 2018.05.08 09:32
사회문제 된 다산신도시 택배 논란
전주 E아파트 한 평 카페와 대조
소통과 공동체 의식 공론화해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 모을 때













 
↑↑ 이우석
카페사회사업가
ⓒ 양산시민신문 
얼마 전 뉴스를 통해 다산신도시 택배 논란에 대한 보도가 있었다. 남양주 다산신도시 일부 아파트 단지에서 택배 배달을 둘러싼 ‘갑질’ 논란이 문제였다. 아파트 단지 내 택배차량으로 인한 안전사고로 ‘차 없는 단지’, 혹은 아파트의 가치와 품격을 위한다는 이름으로 아파트측은 지상에 택배차량 운행을 통제하고, 지하주차장이나 정문과 후문 외부주차장을 이용한 배송을 요청했다. 


하지만 택배기사들은 우선 지하주차장 높이로 인해 택배차량 출입이 어려웠고, 단지 내 배송거리가 멀어져 업무 가중에 따른 ‘생존권’ 보장을 위해 경비실 앞이나 단지 앞에 택배물을 집결해 입주민이 직접 찾아가게 했다. 이는 곧 택배대란으로 이어졌다.


다산신도시 택배대란이 언론에 보도되고, 공동체 의식에 대한 사회문제로 인식될 때 이와 대조되는 사례의 보도가 나왔다. 바로 ‘한 평 카페’다. 전주의 E아파트의 한 동에서는 택배기사, 경비원, 청소 노동자 등을 위해 ‘한 평 카페’를 운영하고 있었다. 



카페에는 커피, 녹차, 물 등을 비롯해 물티슈 등이 마련돼 있다. ‘한 평 카페’를 연 입주민 정수현 씨는 아파트 주민과 따뜻하게 지내고 싶은 마음에서 시작했다고 한다. 신축아파트 1층에 사는 정 씨는 더불어 사는 세상이기에 수고해주신 많은 분에게 작은 감사를 표시하는 것일 뿐이라고 했다. 처음에는 정 씨 혼자 관리했지만 점차 같은 동 입주민이 음료와 과자를 채워주면서 많은 지지와 응원을 하고 있다고 했다.


정 씨는 필자와 함께 사회복지 공부를 함께한 동문이다. 친구로서 참 자랑스럽다. 정 씨의 활동을 우리는 ‘캠페인’이라고 부른다.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서는 우선 이웃과 잘 알고 지내야 하는 ‘인사하기’가 필요하고, 서로 왕래하는 ‘이웃살이’, 혹은 ‘마을살이’가 필요하다. 옛날에는 자연스럽게 해 왔던 일이었으나, 요즘에는 특히 공동주택인 아파트에서는 쉽지 않은 일이다. 


이에 ‘한 평 카페’라는 소박한 캠페인이 진행됐다. 1층에 마련된 카페에는 오가는 누구나 편하게 잠시 쉬면서 차 한 잔, 과자 하나 먹을 수 있다. 청소는 정 씨가 도맡아 하지만, 틈틈이 아파트 청소해주시는 분들이 오가며 정리해 줄 수도 있다. ‘한 평 카페’가 이웃들과 소통할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이다. 



“안녕하세요”, “수고 많으십니다” 인사와 감사가 아파트 안에서 이뤄지면, 이웃 간 소통과 왕래도 자연스럽게 이뤄질 수 있다. 물론 ‘한 평 카페’가 다산신도시 택배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아니다. 하지만 공동체 의식을 공론화해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지혜를 만들어가는 하나의 소통의 방법이 될 수는 있다고 생각한다.


법적으로는 <공동주택 관리법>이라는 상위법이 있고 지자체마다 여러 가지 주택 조례가 있다. 법은 필요에 의해 만들어지고, 분쟁을 해결하는 관리 차원에서 만들어진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법 안에 사람들 ‘휴머니즘’ 즉 사람다울 수 있게 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지방선거에 출마한 어느 시의원 후보는 공약으로 <아파트 공동체를 위한 조례 개정>을 내세웠다. 공동주택 관리조례 개정을 통해 안전 관리, 공동체 활성화 지원, 분쟁조정위원회 운영, 공동주택단지에 고용된 경비원 등의 처우 개선, 시 산하 비상임공동주택관리위원회 설치 등이 주요 내용이다. 양산시는 아파트가 많은 신도시이기에 그 누가 당선돼도 이번 사회적인 이슈가 말해주듯 아파트 공동체 활성화와 문화 만들기는 꼭 필요하다.


아파트마다 정 씨와 같은 분들이 ‘한 평 카페’를 운영하는 것도 좋지만 현실적으로는 확산되기 쉽지 않다. 제도적으로 각 아파트단지 내 택배시설과 입주민, 외부 주민 혹은 택배기사들과 의견을 조율해야 한다. 공동체 문화 만들기와 활성화 방안, 그리고 아파트에서 고용한 분들의 열악한 처우 개선과 복지 증진을 담아야 하고 노력해야 한다.


시대는 변했다. 지방선거에 출마한 많은 후보는 깊이 생각해 봐야 한다. 마을과 마을에서 살아가는 주민의 삶에 대한 고민을 잘 담아내는 정책을 모아, 사회 문제를 잘 풀어갈 수 있는 지혜로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가 되길 소망한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