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품 수거 거부 사태가 발생 10여일 만에 일단락했다. 그동안 수거 거부했던 양산지역 아파트 32곳에 대해 9일부터 점차 수거키로 했고, 다음 주부터 정상 수거에 들어갈 예정이다.
양산시와 주택관리사협회, 재활용품 수거업체 등에 따르면 지난 8일 양산시 주재로 아파트와 수거업체 관계자가 한자리에 모여 대책회의를 하고 재활용품 정상 수거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수거업체는 경영상 어려움을 설명하면서 세대별 단가 인하, 마대 구입비 등을 아파트측에서 부담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아파트측에서는 입주자대표회의 등을 통해 조율하겠다고 답변했다. 동시에 재활용품 단가 하락, 폐기물 처리비용 상승 등 수거업체가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공신력 있는 문서를 발송해 줄 것을 요청했다.
회의 이후 수거업체는 9일부터 미수거 아파트에 대한 수거를 시작했고, 이번주부터 양산 전역 재활용품 수거 활동을 정상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로 인해 10여일 만에 양산에 발생한 재활용품 수거 거부 사태는 일단락됐지만, 완전히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아파트별 협의에 따라 언제든지 수거 거부 사태가 재점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주택관리사협회 양산지부는 “재활용품 수거업체와의 계약 수정은 관리소장이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기 때문에 입주자대표회의를 통한 주민 동의가 필요하다”며 “또 아파트 세대 수나 지역 환경에 따라 재활용품 처리 비용이 다르기 때문에, 일괄적인 50% 인하나 마대 지원 요구를 당장 수용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시 말해 아파트별 입주자대표회의를 통해 논의를 거쳐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현재 완전히 합의됐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설명이다.
더욱이 플라스틱, 폐비닐 등을 수거하는 업체는 재활용 선별 작업을 통해 분류한 폐기물을 양산시자원회수시설에게 처리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수거업체 관계자는 “현재 1톤당 폐기물 처리비용이 12만원으로 하루 3톤씩 처리하고 있다”며 “자원회수시설이 이를 처리해 준다면 1톤당 4만원에 불과해 수거업체 숨통이 조금 트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양산시는 검토해 보겠다는 답변뿐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아 현재 회신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며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정상 수거 활동을 언제까지 할 수 있을지 알 수 없는 처지”라고 말했다.
이에 양산시는 “양산은 현재 하루 100톤가량 소각을 하는데, 이 가운데 폐플라스틱 등 선별 잔여물이 이미 20~25톤 포함돼 있다”며 “폐기물 소각용량은 더는 늘릴 수 없어 당장 수거업체 요구를 받아들이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덧붙여 “인근 지자체 소각장을 이용할 수 있는 방안 등 다각도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중으로 장기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