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어린이통학용 노후 경유차 운행 금지… “영세학원 어쩌라고”..
사회

어린이통학용 노후 경유차 운행 금지… “영세학원 어쩌라고”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입력 2018/05/21 09:18 수정 2018.05.21 09:18
운수사업법 개정안 내년 1월 시행
차령 9년 초과한 통학차 운행 금지
학원차량 등 어린이통학용 경유차
폐차 후 LPG 전환하면 예산 지원
일부 학원 “학원차 유상운송 아냐”
동승자 인건비, 보험료 상승에다
신차 부담까지… 영세학원 시름

내년부터 차령(車嶺)이 9년을 초과한 어린이통학차량의 운행이 금지된다. 이를 위해 어린이통학용 노후 경유차를 LPG 차량으로 전환하는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영세학원들은 현실과 동떨어진 정책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환경부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제작한 지 9년이 초과한 어린이통학차량의 운행을 제한하는 내용을 담은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 개정안이 내년 1월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개정안에 따라 어린이집ㆍ유치원ㆍ학원 등 통학 차량을 포함한 유상운송 허가 자동차의 차령이 9년을 초과하면 유상운송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다만 자동차관리법에 따라 정기검사를 받고 검사 기준이 적합하다고 판정된 차량은 검사 유효기간 만료일까지 차령이 연장된다. 최대로 연장할 수 있는 차령은 11년이다. 다시 말해 제작한 지 11년이 지난 경유차량은 더는 어린이통학용으로 운행할 수 없다.


이와 동시에 정부는 2009년 이전에 제작한 어린이통학용 노후 경유차를 폐차하고 15인승 LPG 신차로 전환할 경우 1대당 500만원(국비 250만원+시비 25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차량 제한 방침에다 미세먼지로부터 아이들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1석 2조 효과를 노리는 방침이다.


경유차는 LPG차보다 미세먼지 원인 물질인 질소산화물이 93배가량 많이 배출한다. 성인보다 호흡량이 많은 아이들은 대기오염물질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발맞춰 양산시 역시 올해 1억5천500만원을 들여 양산지역 어린이통학차량 31대에 대해 LPG 전환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내년에는 50대 규모로 지원 사업을 늘릴 예정이다.














ⓒ 양산시민신문


양산시는 “올해 신청이 50여대로 차령이 오래된 통학차량을 우선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지원 대상은 9~15인승 승합차로, 해당되는 교육기관 차량은 사업 신청을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상당수 양산지역 학원운영자들은 이 같은 정부방침을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우선 유상운송은 말 그대로 유상으로 운행하는 것인데, 대부분 학원은 별도 교통비를 받지 않고 서비스 차원에서 학원생 통학 목적으로 차량을 운행하고 있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돈을 받고 운행하는 유상운송 차량과는 엄연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한 학원 관계자는 “하루에 몇천 km를 운행하는 관광버스와 같은 유상운송 차량과 학교와 학원을 오가는 학원 차량을 어떻게 동일한 기준으로 보고 차령을 제한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멀쩡한 차를 버리고 새 차를 구입하라는 것은 재산권 침해”라고 반발했다.


현재 양산에서 유상운송허가증을 발부받은 어린이통학차량은 어린이집 307곳, 유치원 48곳, 학원 132곳이다. 이 가운데 학원은 양산지역 등록 학원이 510여곳인 것과 비교하면 크게 밑도는 수치다.


이에 대해 양산시는 “지난해 양산시학원연합회가 ‘학원차 아침운행 불법’을 주장해 국토교통부에 유권해석을 의뢰한 결과, 학원 차량을 유상운송으로 볼 수 있다고 결론이 내려진 바 있다”며 “별도 교통비를 받지 않더라도 학원비 일부를 차량유지비(유류비, 관리비)로 사용하는 경우 유상운송으로 분류할 수 있기 때문에, 학원차량은 모두 유상운송 허가 대상”이라고 설명했다.


한 학원장은 “세림이법 시행으로 동승자 인건비 부담에다 유상운송허가증 발부로 보험료 상승 부담까지 안고 있는데, 이제는 차량까지 새로 구입해야 한다니 영세학원은 점점 경쟁력을 잃어가는 것 같다”며 “상황이 이렇다 보니 골치 아픈 통학 차량을 없애고 자가용으로 학생을 실어 나르는 학원도 일부 생겨나고 있어 우리 아이들이 도리어 안전 사각지대로 몰리는 것 아닌가 걱정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