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부동산 시장 거래절벽에 양산지역 부동산업계 ‘한숨만’..
사회

부동산 시장 거래절벽에 양산지역 부동산업계 ‘한숨만’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입력 2018/05/21 09:22 수정 2018.05.21 09:22
세금 증가, 전매 제한, 대출 규제 등
부동산 규제로 시장 경기 ‘냉각’
양산도 부동산 취ㆍ등록 감소
중개업소 “4월 거래량 전무”
업소 증가세 주춤에 폐업까지
법무사도 인원 감축으로 연명
금리 인상에 금융권 대출 ‘뚝’

“지금 같은 부동산 시장 냉각기가 1년만 더 지속된다면 과연 살아남을 부동산중개업소가 몇 군데나 있겠습니까?”


양산지역에서 20여년 간 부동산중개업을 해 온 A(58) 씨가 하소연했다.


정부가 연이어 부동산 시장을 겨냥한 규제를 내놓음에 따라 부동산 시장이 빠르게 냉각하고 있다. 거래 자체가 실종되면서 양산지역 부동산업계에서 전멸 위기설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가 지난해 분양권 전매 제한, 투기과열지구 선정, 다주택자 임대사업자 등록제 등 부동산 대책을 연이어 시행하며 부동산 규제 드라이브를 강하게 걸었다. 기존 규제 외에도 최근 토지공개념 강화와 총제적상환능력비율(DSR) 시범 도입, 금리 인상까지 줄줄이 이어져 부동산 시장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게 됐다.


사정이 이렇게 되자 주로 부동산 거래에 의지해 수입을 창출ㆍ생활해 오던 부동산중개업소와 법무사는 당장 자구책 마련에 전전긍긍하고 있는 모습이다. 부동산 대출이 주요 수입원인 금융권도 대출 실적이 사라지면서 위기감이 팽배해지고 있다.
















↑↑ 증산신도시에 들어선 부동산중개업소 가운데 거래량 감소 등 이유로 폐업하는 사례가 생겨나고 있다.
ⓒ 양산시민신문


양산시에 따르면 올해 들어 4월 말까지 부동산 취ㆍ등록세 납부 건수는 5천400건으로 금액은 456억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8천200건 607억원 규모와 비교하면 2천800건(52%) 151억원(33%)이 감소했다.


양산지역 부동산중개업소 986곳이 부동산 거래 절벽에 당장 존폐기로에 섰다고 토로했다. 양산은 물금신도시 조성에 따른 인구증가로 2017년까지 해마다 100여개가량 중개업소가 증가해 왔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증가세가 주춤하더니, 올해 실제 폐업하는 업소까지 생겨나고 있다. 더욱이 양산은 물금신도시 신규 물량 거래가 끝나는 시점과 부동산 규제 정책이 맞물려 부동산중개업소들의 거래량 감소 체감률이 상당히 크다는 것.


B 공인중개사는 “올해 초 도시철도 양산선 기공식 소식 등으로 반짝 거래가 있더니 4월에는 거래량이 전무한 상황”이라며 “더욱이 부산지역 7개 구ㆍ군이 청약 조정대상지역이 되면서 얼어붙은 부산 부동산 경기로 인해 양산지역이 직격탄을 맞은 꼴”이라고 설명했다.


양산지역 17곳 법무사사무소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법무사사무소는 주요 수입원이 부동산 등기 대행과 은행대출 서류 작성인 데, 지난해 절반 수준으로 하락했다.


C 법무사는 “일감이 호황기에 비해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해, 4명이던 직원을 2명으로 줄였다”며 “인건비, 관리비를 줄이는 것 말고는 지금처럼 꽝꽝 얼어붙은 부동산 시장에서 버텨낼 재간이 없다”고 한숨지었다.


지역금융권도 어려움을 호소했다. 금융권 대출규제로 인해 과거 3%대인 금리가 현재는 4%대로 1% 인상되면서 대출신청이 뚝 끊겨 버린 상황이다. 물금 D은행 지점장은 “최근 몇 달간 대출실적이 없어 걱정”이라며 “특히 대출이자가 주수입원인 농협과 새마을금고의 영업수입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