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2기에 달하는 송전탑이 이처럼 지역 곳곳에 흩어져 있어 송전탑 지중화 사업 요구는 고질적 민원이 된 지 오래다. 그래서 양산시가 양산 전역을 대상으로 지중화 사업 타당성을 조사하는 연구에 들어갔다.
양산시는 ‘양산시 전력선 지중화 사업 타당성 연구 용역’을 지난달 착수했다. 용역은 양산지역에 설치한 송전탑ㆍ송전선로ㆍ변전소 등 송ㆍ변전 시설을 대상으로 기본현황을 파악하고, 지중화 사업에 따른 경제ㆍ사회적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이 목표다.
양산지역에 설치된 송전탑은 모두 512기다. 154kV 송전탑 281기, 345kV 186기, 765kV 45기로 인근 대도시인 부산과 울산보다 면적당 송전탑 개수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양산지역에 많은 송전탑이 설치돼 있는 이유는 부산 기장군 장안읍 고리원전과 울산화력발전소 등 송전선로 상당수가 양산을 거쳐 김해나 밀양ㆍ창녕 등 다른 지역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양산 전역을 휘감은 송전선로 총 길이가 17만1천441m에 달할 정도다.
![]() |
ⓒ 양산시민신문 |
문제는 양산지역이 최근 신흥주거지역으로 급성장하면서 신도시에 먼저 자리 잡고 있는 송전탑이 심각한 환경문제로 떠올랐다는 것이다. 실제 <송ㆍ변전설비 주변 지역의 보상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송ㆍ변전 시설 인근 주민 피해를 보상하고 있는 세대가 5만4천여세대에 이른다. 이는 양산지역 내 총세대 수 13만8천여세대의 39%에 달하는 수치다.
더욱이 아이들이 하루 일과 가운데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하는 학교에서 장기간 전자파에 노출되는 상황이 벌어져 학부모 우려가 커졌다.
학교 주변 반경 1km 이내 송ㆍ변전 시설이 있는 학교는 모두 39곳으로, 양산 전체 63%에 달한다. 사실상 양산신도시 1단계 지역 학교와 웅상지역 학교는 모두 포함돼 있다. 더욱이 한 학교 주변에 송전탑 2기나 송전탑ㆍ변전소가 함께 있는 학교도 11곳으로, 중복 위험에 노출돼 있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 영ㆍ유아교육기관은 문제가 더욱 심각했다. 이격거리 측정이 무의미할 정도로 송전탑 옆에 나란히 붙어 있는 것은 물론, 아이들이 뛰어 노는 어린이집 부지 안 마당에 송전탑이 들어서 있는 곳도 있다.
양산시는 이 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송ㆍ변전 시설 지중화에 필요한 요건과 시기 등을 검토하고, 지중화를 진행한 다른 지역 사례를 비교해 대안을 찾는다는 계획이다. 무엇보다 한국전력과 지자체가 5:5 매칭 방식으로 진행하는 만큼 예산 비용을 산출하고, 우선순위를 판단해 실질적인 사업 추진 근거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양산시는 “오는 10월까지 용역을 마무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원에 적극 대응함은 물론 앞으로 진행할 한전과의 지중화 사업 협상에 근거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