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양산시 미분양관리지역 지정… 웅상 아파트 분양 저조 탓..
경제

양산시 미분양관리지역 지정… 웅상 아파트 분양 저조 탓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입력 2018/07/10 10:20 수정 2018.07.11 10:20
5월 말 기준 미분양 1천354가구
전달 대비 7배가량 급증
웅상지역 신규 아파트 2곳
분양률 저조로 미분양 급증

양산시가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선정됐다. 지난해 8월 해제 이후 1년여 만에 다시 선정된 것으로, 최근 웅상지역 신규 아파트 분양 매물 급증이 원인이 됐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지난 2일 제22차 미분양관리지역을 선정해 공고했다. 전국 미분양관리지역으로 모두 24곳(수도권 4곳, 지방 20곳)을 선정했고, 경남은 양산시를 포함해 모두 5곳이다.


‘미분양관리지역’이라는 용어가 등장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정부가 지난 2016년 8월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내놓으면서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로 도입했다. 주택 공급시장 안정적 관리를 위해 미분양 증가지역을 특별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주택도시보증공사가 2016년 9월부터 매달 말 미분양관리지역을 선정ㆍ공고해 왔다.


기준은 미분양 주택 500가구 이상인 시ㆍ군ㆍ구 가운데 ▶최근 3개월간 전월보다 미분양 가구 수가 50% 이상 증가한 달이 있는 지역 ▶당월 미분양 가구 수가 1년간 월평균 미분양 가구 수 2배 이상인 지역 ▶최근 3개월간 미분양이 1천가구 이상이며, 최근 3개월간 전월보다 미분양 가구 감소율이 10% 미만인 달이 있는 지역 등이다.


양산시는 지난해 2월 미분양 주택이 834가구로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처음 지정됐다. 당시 신기동 유탑유블레스, 덕계동 두산위브, 북부동 지안스 등 공동주택 분양을 진행하면서 미분양 가구가 증가한 것. 3개월 뒤 500가구 미만으로 떨어졌지만 모니터링 필요 지역으로 지난해 8월 말까지 7개월간 관리대상으로 유지됐다.














ⓒ 양산시민신문


그리고 11개월 만인 지난 1일 또다시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미분양관리지역 해제 이후 미분양 가구가 최대 200가구를 넘지 않는 수준을 꾸준히 유지해 오다, 5월 말 미분양이 7배가량 증가했기 때문이다.


5월 초 분양을 시작했던 소주동 양우내안애ㆍ덕계동 두산위브2차 아파트 분양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아 미분양이 속출했다. 이들 아파트 2곳의 미분양만 1천172가구다. 여기에 잔여 분량 가구가 남아 있는 유탑유블레스, 한신더휴 등 기존 아파트 6곳 182가구를 더하면 모두 1천354가구가 미분양으로 기록됐다.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되면 신규 주택 건설사업이 엄격히 관리된다. 공동주택 부지 매입 전 예비심사를 신청해 결과통지를 받은 다음 날부터 매매계약을 체결할 수 있으며, 예비심사를 신청하지 않으면 PF보증이나 분양보증심사가 거절돼 주택공급 시행사들은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양산시는 “신규 아파트 분양 물량이 쏟아지면서 일시적으로 미분양 가구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분양은 아직 진행 중이기 때문에 분양률을 지켜보면서 대응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미분양 물량이 많은 상황에서, 현재 신규 분양을 준비하고 있는 아파트가 많아 당분간 미분양관리지역 해제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달에 평산동 코아루2차(405가구) 분양이 시작되는 데다, 현재 조합원을 모집하고 있는 지역주택조합 아파트가 1천여가구에 육박한다.


한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부동산 대책 여파로 주택 시장이 급격히 냉각돼 거래량이 급감했다”며 “특히 웅상지역 경우 신규 아파트 분양 물량이 많은 데다 분양 전환을 준비하고 있는 임대아파트와 공공임대 물량까지 쏟아질 예정으로, 당분간 수요와 공급 불균형 현상이 지속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