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양산시민신문 |
부산발전연구원과 부산대 산학협력단이 지난 9일 양산시민을 대상으로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타당성 조사연구 용역’ 관련 주민설명회를 진행했다. 이는 부산시가 발주한 연구용역으로, 부산시는 오는 10월 용역 결과가 나오면 계획을 구체화해 내년 상반기 중 환경부에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국립공원에 포함되는 금정산 면적은 모두 60.9㎢다. 부산지역 금정구, 북구, 동래구를 비롯해 양산지역은 동면 17.2㎢가 포함됐다. 전체 면적의 28%를 차지하고 있다.
이날 용역업체는 “전국에 국립공원 22곳 6천726㎢가 지정돼 있는데, 이들 사례를 볼 때 경제적 파급효과와 탐방객 상승 등 긍정적 효과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금정산 산성마을 등 국립공원 내 일부 마을은 주민들과 상의한 후 제외할 수 있다”며 “더욱이 금정산 내 사유지 대부분이 그린벨트로, 그린벨트 규제가 국립공원보다 강해 국립공원 지정으로 더 이상의 재산권 침해 피해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 양산시민신문 |
하지만 설명회에 참석한 양산지역 주민들 생각과는 온도 차가 컸다. 우선 용역업체 설명대로 이미 그린벨트로 묶여 개발제한이 돼 있는 곳을 또다시 국립공원으로 묶을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한 주민은 “자연을 보호한다고 1972년부터 그린벨트에 묶어 재산권을 침해하더니, 그린벨트를 해제하지도 않으면서 이제 와 국립공원까지 지정하면 사실상 이중규제 아니냐”고 강력히 반발했다.
또 다른 주민은 “같은 금정산이지만 송전탑은 양산지역에만 설치돼 있는 것을 보고 평소 서럽게 느끼기까지 했다”며 “또 부산외곽순환도로 터널 공사로 금정산 습지는 다 메마르고, 환경 훼손도 심각해졌는데 이제 와 부산시에서 국립공원 지정을 하는데 양산지역도 동참하라고 하니 기가 찰 노릇”이라고 토로했다.
이날 주민설명회에 참석한 양산시의회 최선호 시의원(민주, 동면ㆍ양주)은 “국립공원이 되면 공원마을지구 등으로 지정돼 규제가 다소 완화된다는 설명을 했는데, 사실상 양산지역은 그린벨트 탓에 집단 취락마을이나 상업지역이 없어 공원마을지구 같은 혜택을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덧붙여 “용역업체가 국립공원 지정에 따른 양산지역의 실익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등 조사ㆍ연구가 부족해 보여 상당히 아쉽다”며 “자연보호를 위해서라면 보존가치가 높은 금정산 동면 금산리에 위치한 금샘습원에 대한 보존 관리 계획 수립도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