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거대해진 물금읍, 따라가지 못하는 행정서비스..
사회

거대해진 물금읍, 따라가지 못하는 행정서비스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입력 2018/09/18 09:10 수정 2018.09.18 09:10
인구 11만7천명의 물금신도시
공무원 수 턱없이 부족 ‘지적’
주민자치위 등 탄력적 운영도
“분동 대비한 행정력 갖춰야”

인구 11만7천명. 물금읍은 이렇게 거대해졌지만 여전히 ‘읍’에 머물러있다. 때문에 행정서비스나 지역밀착형 소통 부재에 대한 우려가 크다.


양산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물금읍 인구 대비 공무원 수 부족으로 인해 여전히 양질의 행정서비스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효진 의원(자유한국, 물금ㆍ원동, 사진)은 “물금읍은 인구 11만7천명에 물금읍 관할 공무원 수가 47명에 불과하다”며 “웅상의 경우 웅상출장소와 4개동을 포함해 인구 10만명에 공무원 수가 145명이다. 제대로 된 행정서비스가 될 수 없는 조직 구조”라고 질타했다.
















↑↑ 신도시 개발로 인구가 크게 늘어난 물금읍 전경.
ⓒ 양산시민신문


이에 안종학 행정과장은 “최근 물금읍 6급 과장 직제를 5급으로 상향하고, 정원을 지속적으로 늘이고 있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김 의원은 “인구 밀집의 신도시이다 보니 민원 수요가 상당하다. 만약 사회복지조사를 해야 하는 시기가 되면 업무 담당자는 새벽 4시에 퇴근하는 일이 다반사”라며 “인사에 있어 적정하게 업무량을 분포해야 하는 것이 인사팀의 역할 아니냐. 인력 확충을 서둘러 달라”고 주문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주민 자치를 통해 지역사회 활발한 공익적 활동을 하는 주민자치위원회 구성에 대한 문제도 발생했다.


박미해 의원(민주, 비례)은 “주민자치위 구성은 필수적인데, 읍면동 인구수와 상관없이 20여명 정도 인원으로 구성하는 것을 조례에 명시해 놨다”며 “11만7천명의 물금읍 주민의 여론을 담고 소통하는데 20여명 주민자치위원들로 가능하다고 보지 않는다. 인구수 대비 신축적 구성과 운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김효진 의원
ⓒ 양산시민신문

때문에 물금읍 분동에 대한 논쟁이 끊이질 않는다. 실제 앞선 6대 의회에서도 물금읍 분동에 대한 행정당국 입장을 묻는 시정 질의를 진행했다. 답변은 중앙부처가 행정 효율성이 높이기 위해 2~3개 읍면동을 묶는 권역형 복지허브 추진을 권유하고 있어, 정부 정책과 맞지 않다는 것이다. 하지만 주민 의견을 수렴해 검토하겠다는 입장이었다.


김 의원은 “일반적으로 2만명 이상이면 하나의 동을 이룰 수 있는 데다, 물금신도시 도시계획을 보면 물금읍을 4개동으로 분동하도록 돼 있다”며 “이후 행정 공백이나 서비스 부재가 발생하지 않으려면 4개동에 맞춘 행정력을 점차 갖춰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