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진 의원(자유한국, 물금ㆍ원동)은 “양산지역에 8명의 아동복지교사가 있다. 양산시에서 1년 단위로 채용하는 일종의 기간제 교사인데, 2년이 지나도 정규직 전환이 안 돼 고용불안이 심하다”고 설명했다.
]
![]() |
ⓒ 양산시민신문 |
이어 “한 번은 열악한 처우로 인해 영어교사 고용이 어려워 3개월가량 아동들이 영어수업을 받을 수 없었다”며 “맞춤형 케어 실력과 복지 마인드까지 갖춘 상당한 인재들로, 우리 아이들이 안정적인 교육을 받기 위해서라도 합당한 대우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복지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도록 지역적 안배에 노력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현재 양산지역 지역아동센터는 15곳이다. 물금읍 3곳, 서창동 4곳, 평산동 3곳, 동면ㆍ중앙동ㆍ양주동ㆍ삼성동ㆍ소주동 1곳씩 운영하고 있다. 강서동, 상북면, 하북면, 덕계동은 1곳도 없다.
박재우 의원(민주, 상북ㆍ하북ㆍ강서)은 “지난해 말 상북지역에 한 지역아동센터가 운영의 어려움으로 문을 닫았다”며 “때문에 현재 상ㆍ하북 지역은 사실상 아이들 케어(돌봄)가 제도권 밖으로 밀려나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에 박정희 사회복지과장은 “현재 아파트단지 내 공간 등 최소면적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을 물색하고 있지만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며 “(가칭)상북종합복지관 건립 예정지에 지역아동센터를 입소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고 답변했다.